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식물공장으로 장소불문 채소 생산
유전자변형기술 병해충 한층 강해
삶의 바탕인 농업 무궁무진 발전


십 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 속담은 이미 옛말이 됐다. 영상매체의 중요성과 정보의 신속성이 부각된 현대 사회에서 십 년이면 나라가 변하고도 남을 시간이다. 눈을 뜨고 일어나면 과학 기술이 개발돼 있고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디자인 색상이 바뀌어 있다.

   이런 사회에서 우리 삶의 근원이 되는 농업이라고 다를 바 없다. 땅을 갈고 씨를 뿌려 추수할 날을 기다리던 고전적인 농업은 지나가고, 온도를 조절하고 물의 양을 맞추어 내는 비닐하우스 농작법을 많이들 선호하고 있다. 실내 농작에 의해 봄에만 나던 딸기를 사시사철 먹을 수 있고, 옛날과는 달리 겨울에도 싱싱한 야채와 과일을 풍족히 먹을 수 있다. 그저 자연의 순리에 따라 곡식을 얻었던 과거와는 무척 다르다. 과학을 도입한 농법은 우리의 삶을 더욱 윤택하게 바꿔놓았다.

 우선 유전자변형기술을 이용해 병해충 방제기술을 개발한 데에 의의가 있다. 이 기술로 작물 생산을 시도한 끝에 남생이벌레에 강한 밀, 천연 고무를 생산하는 해바라기, 단백질 함량이 일반 옥수수의 두 배인 신종 옥수수, 병충해를 이길 수 있고 화학 비료를 적게 사용하며 가뭄에 견디고 물을 절약할 수 있는 녹색 슈퍼 벼 품종이 재배 되었다. 병해충을 물리칠 수 있기 때문에 작물이 보유하고 있는 풍부한 영양으로, 건강에도 좋은 식품들이다. 이는 제3세대 식물로 불린다.

   생물 농약을 개발해 흰개미 성충 방제용 농약을 개발했고, 자연의 먹이사슬을 이용해 무당벌레로 진딧물을 방제하는 농법도 도입됐다. 또 시설원예 에너지 절감기술 개발로 농가의 에너지 부담을 덜었다. 파주시는 친환경농업의 생산성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이를 도입해 경영비의 40%를 차지하던 난방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었다. 온풍기에 이중 덕트를 부착해 난방비를 9% 절감하고 풋고추의 수량을 17% 증수한 것도 파주시가 실천한 시설원예 에너지 절감기술의 좋은 예이다.

 미래의 농업은 토지, 자본, 노동의 개념이 없어진다고 한다. 토지와 노동이 없어도 식물 공장이라는 신식 농법으로 맞춤형 농산물을 생산하게 되기 때문이다. 식물 공장이란, 자연에 관계없이 빛, 온도, 양분 등을 컴퓨터가 자동으로 조절해 키우는 방식으로, 실내에서 키우기 때문에 병충해를 줄일 수 있어 농약의 사용량이 자연히 줄어든다. 식물 공장은 남극 세종기지에도 설치돼 있다.

   남극은 영하 수십 도를 넘나들고 만년설로 뒤덮여 있어 흔히 극한의 환경이라고 한다. 그런 남극의 세종기지 연구원들은 신선한 야채를 공급받지 못하고 있었다. 하지만 밀폐된 공간에서 채소를 기르는 이동식 식물 공장을 설치한 이후로 냉동 채소 대신 신선한 야채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 식물 공장은 영하 40도 이하에서도 재배가 가능하며 온도와 습도, 수분 공급, 이산화탄소량과 조명 밝기까지 자동 조절된다. 남극 뿐 아니라 장기항해선박과 사막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식물 공장은 선진국에서도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 농촌진흥청은 식물 공장 기술이 미래 농업을 이끌 고부가가치 사업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경쟁이 치열하므로 지원과 연구를 집중할 계획이다. 또 식품의 안정성을 고려해 자연적인 유기농법으로 건강한 농산물을 키워내 소비자 기호에 따라 식물 공장의 농산물과 유기농산물을 선택 구매할 수 있게 된다. 유전공학에 의한 농법도 발전해 인간의 몸에 맞는 안전한 농산물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품종을 개량할 수 있다.

 날로 발전하는 세상에 농업 또한 발전하고 있다. 도시인에겐 마음의 고향인 농촌,  그래서인지 언제나 변함없다는 이미지를 갖고 있다. 좋은 점일 수도 있지만 때에 따라 퇴보한다는 느낌을 줄 수 있다. 그러나 현실의 농업은 상상 이상이다. 어느 누가 식물이 자랄 수 없는 척박하고 혹독한 땅에 식물 공장을 세울 생각을 할 수 있었을까. 농촌 또한 사회를 구성하는 일원인 만큼, 달라질 미래를 위해 그들이 서 있는 곳에서 더욱 열심히 준비해야 한다. 삶의 가장 밑바탕이 되는 장소인 만큼 오히려 발전이 없으면 안 되는 장소이기 때문인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