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한국문학에서는 거의 낯선 노동과 생산의 문제, 부와 빈곤의 문제를 즐겨 다뤄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 작가 황석영.
#작가소개
1943년 만주 장춘(長春)에서 태어났다. 고교시절인 1962년에 사상계 신인문학상을 통해 등단하고, 1970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단편 '탑'과 희곡 '환영(幻影)의 돛'이 각각 당선돼 문학 활동을 본격화했다.


 1966∼67년 베트남전쟁 참전 이후 74년 들어와 본격적인 창작 활동에 돌입해 '객지', '한씨연대기', '삼포 가는 길' 등 리얼리즘 미학의 정점에 이른 걸작 중단편들을 속속 발표하면서 진보적 민족문화운동의 추진자로서도 활약했다. 1974년 첫 소설집 <객지>를 냈으며, 대하소설 <장길산> 연재를 시작해 1984년 전10권으로 출간했다.


 1976~85년 해남, 광주로 이주했고 민주문화운동을 전개하면서 소설집 <가객(歌客)>(1978), 희곡집 <장산곶매>(1980), 광주민중항쟁 기록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1985) 등을 펴냈다.


 중국에서 <장길산>(1985), 일본에서 <객지>(1986), <무기의 그늘>(1989), 대만에서 <황석영소설선집>(1988)이 번역·간행되기도 했다.


 1989년 동경·북경을 경유해 평양 방문 이후 귀국하지 못하고 독일 예술원 초청 작가로 독일에 체류한다.


 이해 11월, 장편소설 <무기의 그늘>로 제4회 만해문학상을 받았고, 1990년 독일에서 장편소설 <흐르지 않는 강>을 써 한겨레신문에 연재했다.


 1991년 11월 미국으로 이주, 롱 아일랜드 대학의 예술가 교환 프로그램으로 초청받아 뉴욕에 체류했다. 1993년 4월 귀국, 방북사건으로 7년형을 선고받고 1998년 사면됐다.
 
#에피소드
그의 장편소설 <강남몽>에는 시대를 풍미했던 역사적 인물들이 실명으로 등장하고 실제 있었던 일들을 다뤄서 눈길을 끈 작품.


 이에 대해 그는 교보문고 북뉴스와의 인터뷰를 통해 "박정희, 이승만, 김구 같은 역사적으로 다 알려지고 행적이 뚜렷한 인물들은 본명 그대로 쓰고, 조역들은 둘을 하나로 합친다 했다. 가령 김태촌과 조양은을 합쳐서 조직 폭력배인 홍양태, 강은촌이라는 캐릭터를 만드는 식으로. 그리고 인물은 물론 그들의 행적도 80%는 사실에 기초해 썼는데 이 자료들을 구하는 과정이 재미있었다. 내가 진짜 깜짝 놀란 것이 지난 10여 년 동안에 미 국립문서보관소의 정보 해제 기간인 50년이 지나서 한국전쟁 무렵의 자료가 거의 100% 공개돼 있더라고. 새로운 자료가 막 쏟아져 나와. 해외 학자들이 한국의 역사에 대해 쓴 자료들이. 국내에서도 지난 10년간 예전보다 많은 자료들이 나왔고. 만약 내가 이 소설을 10년 전에 썼으면 훨씬 애매하게 썼을 것들을 지금 써서 더 확실하게 짚을 수가 있었다. 그래서 언론 자유라는 게 원래 불온한 거구나, 하는 걸 느꼈다"고 답했다.


 이런 불온한 소설을 발표하는 데에 걱정은 없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미국 현지 자료에 다 나와있는 내용이므로 만약 잘못된게 있다면 그런 자료를 발표한 사람들, 미국문서보관소에서 문서 해제한 사람들이 책임을 져야지(웃음)"라며 그래서 언론의 자유가 중요한 것이라 못 박았다.


   
▲ 강남몽.
#최근 인기작
<바리데기>, <개밥바라기별>로 잘 알려진 작가, 황석영의 근작은 장편소설 <강남몽>.


 이미 인터넷상에서 독자들의 열광적인 호응을 얻은 이 작품은 작가 스스로 여러 지면에서 밝혔듯 필생의 작업 가운데 하나로 일찍부터 구상해온 '강남형성사'가 경지에 이른 작가 특유의 필력과 왕성한 실험정신으로 완성을 이룬 작품이다. 수십년에 걸친 남한 자본주의 근대화의 숨가쁜 여정을 파노라마처럼 펼쳐 보이며 우리 시대 삶의 바탕이 어떻게 이루어져왔는지를 실감나게 제시하는 대작이다.


 이야기는 1995년 6월, 1,500여명의 사상자를 낸 강남의 백화점 붕괴사건으로 시작한다. 멈출 줄 모르고 질주해온 개발시대의 욕망과 그 치부를 적나라하게 드러낸 그 사건으로부터 <강남몽>은 현재의 우리 삶을 규정하는 역사적 출발점으로 거슬러 올라가 '강남의 꿈'을 좇아 달려온 인물 군상의 부침을 역동적으로 그려낸다.


 이를 통해 거대한 거품처럼 들끓는 우리 시대의 벌거벗은 욕망들이 생생하게 떠오른다.


 박진감 넘치게 읽히면서도 숨가쁘게 전개되는 현대사를 다큐멘터리 카메라처럼 냉정하게 포착하면서 소설은 진행되지만 독자로 하여금 어느 순간 모든 사건과 인물들이 서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발견하게 하면서 작가의 소설적 구성과 필력을 다시금 확인하게 만든다.


 그 누구도 흉내낼 수 없는, 거장 황석영이기에 가능한 대서사이자 강남형성사, 남한 자본주의 형성사가 독보적인 독서의 재미를 선사한다.  김주영기자 uskjy@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