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정부의 핵심구호인 '창조경제'의 개념이 모호하고 어렵다는 지적이다. 창조경제란 무엇인가. 지금까지 정의된 내용을 쉽게 정리해보면, 한마디로  창조성(Creativeness)이 가치와 부를 창출하는 경제를 말한다.
 그렇다면 창조경제를 멀리서만 찾을 필요는 없다. 바로 농업이 창조경제를 실현할 수 있는 최대 분야이기 때문이다.  

 이는 최근 울산에서 행해진 2건의 농업 관련 소식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로봇으로 농작물을 키우는 기술과 원전 온배수로 농산물을 재배하는 방법이 바로 그것이다.
 첫번째 창조형 농업 경제 사례다. 울주군 삼동면 작동리의 첨단 식물공장에서는 로봇을 활용해 팽이버섯과 인삼을 키우고 있다. 로봇이 사람 대신 일하면서 최소 인력으로 청정(친환경) 인삼의 생산과 안정 공급이 가능해졌다.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 울산의 중소기업과 손잡고 지식경제부 로봇시범사업의 하나로 연구개발한 기술이다.
 식물 생육관리 로봇은 첨단 유리온실 또는 공장형 식물생산시설의 작업공정에 사람 대신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청정, 고능률, 고품질 농산물을 생산하는데 지원을 하게 된다.

 이 로봇은 작물의 생육관리를 자동화함으로써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식물에 대한 병충해 및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자동창고시스템(ASRS)을 기반으로 개발해 적용됐다.
 로봇에는 온도 및 습도, 광조도, CO2 농도 등 식물의 생육환경을 감지하는 센서와 조절장치가 있어 수집된 정보로 로봇이동트레이를 따라 로봇팔을 이용해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으로 이동시켜주는 등 수확전까지 생육 전 과정을 관리하게 된다. 

 특히 공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재배방법에 다단 적층형(수직형)을 활용할 경우 인력으로 할 수 없는 8m의 높이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다. 덕분에 인삼과 버섯 재배단을 쌓아둔 상태에서 식물생육이 가능해 공간 활용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사람의 출입을 최소화 하고 식물의 외부환경 접촉빈도도 줄여 병충해 등의 오염가능성을 매우 낮출 수 있다.

 또 하나의 창조형 농업 경제는 원자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온배수(열)를 이용한 농작물 재배 사업이다. 울산 울주군 서생면 일대 원전에서 배출하는 온배수 열로 각종 어패류 양식에 이어 토마토나 파프리카 등 영농사업이 추진된다는 것이다.
 한국수력원자력 측이 고리원전에서 바다로 배출하는 온배수 열을 회수해 농작물 재배에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고리원전을 가동하면서 배출하는 다량의 온배수 열을 회수해 토마토 등 농작물을 유리온실 하우스로 재배하는 사업이다.

 한수원 측은 신고리5, 6호기 건설과 관련, 지난해 8월 이주가 결정된 신리마을 부지 10만6,000여 ㎡에 유리온실 영농단지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한수원은 사업 타당성 용역과 함께 울주군과 양해각서 체결에 나선다는 보도도 전해졌다.
 원전에서 배출하는 온배수 열을 농작물 재배에 활용하는 방안은 국내에서는 처음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경기도와 제주지역에 지열과 화력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해 농작물 재배에 활용하고 있다.

 한수원에 따르면 원전 1기에서 나오는 온배수는 연간 44억 6,000t으로 전량 바다로 배출되고 있는데, 이런 온배수(21∼35도) 열을 이용해 산 비용을 70∼80% 정도 절감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농작물의 출하 조절도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걱정이 되는 것은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원전의 온배수 열로 농작물을 재배하는 것에 대한 논란이다.그러니 원전 온배수로 농산물 재배사업을 추진하기에 앞서 안정석 확보가 우선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처럼 농업은 고부가가치 미래산업이다. 농업인과 소비자, 정부 및 지자체가 힘을 합쳐 융·복합한 농업 개발기술을 통해 우리 농산업의 경쟁력을 높인다면 우리 농업은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창조경제로 나아갈 가능성이 충분하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