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복지가 한국 사회의 화두가 된 것은 분명하다. 2011년 지방선거, 2012년 총선·대선에서 중요한 논쟁의 초점은 바로 복지에 있었다.


 방법론 측면에서 의견 차이는 있을지라도 복지가 시급하다는 인식에는 보수와 진보 모두 동의한다. 청년실업, 저출산, 양극화 등 더는 성장 패러다임만으로 한국 사회를 끌고 갈 수 없음이 자명해졌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아산정책연구원이 펴낸 '생산적 복지와 경제 성장'은 기획력이 돋보이는 책이다.


 이 책은 우리보다 앞서 복지정책을 실행한 국가들의 사례 연구를 통해 우리가 어떤 복지정책을 취하고 어떤 복지정책을 버려야 하는지를 안내해준다.


 이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첫 부분은 그리스, 아르헨티나, 일본처럼 복지정책에서 실패한, 즉 우리가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국가들을 다뤘다.


 뒷부분은 성공적 복지체제를 확립하거나 복지개혁에 성공한 국가들을 조명했다.


 이스라엘, 스웨덴, 영국을 통해 성공적이고 지속 가능한 복지체제의 선결조건이 무엇인지를 살폈다. 이를 통해 과연 우리는 많은 세금을 부담할 준비가 돼 있는지, 고용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제도를 어떻게 잘 설계할 것인지, 복지와 분배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정책이 무엇인지, 투명하고 효율성 있는 복지행정이 가능할 것인지 등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한다.


 나라마다 사정이 달라서 쉽게 일반화할 수는 없으나 이 책에서 다루는 복지정책 실패국가들의 공통점은 소비적 복지를 통해 사회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는 것이다.


 복지 포퓰리즘(대중영합주의)에 기댄 사회보조금의 증가가 재정건전성을 악화시키고 경제의 경쟁력을 떨어뜨려 복지제도의 존립을 위협하는 모순에 빠졌다고 이 책은 지적한다.


 반대로 복지정책 성공국가들은 생산적 복지를 통해 복지와 경제 성장의 선순환적 구조를 만들었다.


 일례로 보편적 복지정책을 펴는 스웨덴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해 국가의 인적 자원을 최대화했고, 이를 통해 고비용-고복지 체제에도 매우 높은 경쟁력을 가진 국가가 됐다고 설명한다.


 결론적으로 이 책이 전하는 최선의 복지정책은 국가의 산업경쟁력을 저하하지 않는 범위에서 개인의 생산성을 최대화하는 보편적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김인춘 연세대 연구교수, 고명현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 김성원 도쿄경제대 준교수, 암논 아란 런던시티대 부교수가 저자로 참여했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