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8세기부터 절정을 이루기 시작한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전성시대를 거쳐 영국, 프랑스와 네덜란드로 이어진 유럽의 식민지 확대는 해양력의 우세를 통해 이뤄졌고, 식민지 지역에 대해 강압적 외교를 통해 국력 팽창을 지속했다.
 
영국은 식민지 확대를 통해 17세기부터 세계무역에서 우위를 차지했고, 1805년 트라팔가(Trafalgar)해전에서 스페인 함대를 제압한 이후에 강대한 해양국가로 위상을 구축하고 팍스 브리태니커(Pax Britannica)를 이룩하기도 했다. 19세기에는 일본, 러시아, 미국이 20세기 해양 지배권을 장악하기 위한 전쟁을 벌였고, 제2차 세계대전을 기점으로 미국이 세계 최강 해양강국으로 위상을 차지하며 팍스 아메리카나(Pax Americana)를 이룩했다. 이와 같은 역사적 사실은"'가의 흥망성쇠는 제해력(制海力)과 밀접한 관계'라는 점을 보여 준다.
 
이러한 해양력에 있어서 중국은 전통적으로 대륙세력으로서 고립돼 왔다. 1950년대 마오(毛) 정권은 군사전략가 마한(Mahan) 제독의 대양전략론에 매우 비판적이어서 이를 기반으로 한 미국의 해양전략을 혐오하고 인민해방군의 지상군에 중점을 두며 대륙전략을 전개해 왔던 것으로 알려진다. 그러나 1980년 덩샤오핑의 개혁개방정책 이후 중국은 제해권과 제교통권을 주창하며 마한의 대양전략론을 수용함과 동시에 중국의 해양력 건설과 해양 지배를 추구하기 시작한다.
 
중국은 남중국해의 도서들을 중국의 영토라고 주장하고 있는 근거로 역사적인 점유사실을 들고 있다. 1992년 2월 25일 제정한 '영해와 접속수역'법령은 그러한 바탕을 두고 있다. 이 법령은 "중국의 영토는 동사군도, 서사군도, 정사군도와 남사군도를 비롯해 인근의 모든 도서를 포함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법령을 1998년과 1999년에 제정해 남중국해의 모든 도서에 적용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입장을 이해하게 되면 우리는 천안함 사건 이후에 미국이 서해안에 항공모함을 진입시키려 했던 이유와 중국이 이에 크게 반발하며"서해는 중국의 내해"라고 국제법에 위반되는 주장을 펼쳤던 배경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중국이 과거 자신의 해양방위선으로 지정했던 연안을 외부로 팽창시킨 점에 대해 미국은 이를 인정하지 않겠다는 메시지였던 것. 따라서 중국은 필요하다면 한반도의 서해상의 도서나 남해의 도서를 자국령이라고 주장할 가능성이 높다. 그런 현상은 이미 지난 3월, 중국이 이어도에 대한 자국 영토 주장에서 드러난 바도 있다.
 
류츠구이 중국 국가해양국장이 신화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이어도가 중국 관할해역에 있고 감시선과 항공기를 통한 정기순찰 범위에 포함돼 있다'며 이어도에 대한 관할권을 주장했던 것. 문제는 간단하지 않다. 중국이 다오위다오(일본명 센카쿠열도) 문제가 해결되면 이어도(중국명 쑤엔자오) 주권을 주장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됐기 때문이다.
 
중국 신화통신이 발행하는 참고소식은 양자이치 전 중국 광저우 주재 베트남 총영사의 말을 빌려 '한국은 현재 독도 영유권 문제로 일본과 강경 대치하고 있지만 중국과 이어도 관할권 문제가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경고하면서 '한국은 일본과의 독도 영유권 갈등이 격렬해질수록 중국의 계략에 말려들게 될 것'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중국은 이어도 주권문제에 대해 한국과 아무런 갈등이 없는 것처럼 위장하며 한국이 일본과의 분쟁에 전력을 다하도록 조용히 있다"는 것이 양자이치 영사의 주장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