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월보름날은 한자로 상원(上元)이라 하고, 음력 7월 15일 백중날과 10월 15일 하원(下元)과 대칭되는 말로 모두 도교적인 명칭이다. 이날은 우리 세시풍속에서는 가장 중요한 날로 설날만큼 비중이 크다.
 이웃한 중국에서 상원은 한나라 때부터 8대축일의 하나로 전해 왔으며, 일본은 대보름을 '소정월'이라 칭하여 양력 신년을 쇠나 이날은 국가 공휴일로 지정해 놓고 있다.


 정월 초하루날은 1년을 시작하는 날이어서 그 의의가 크다 하겠으나 음력을 기준으로하는 사회에서는 첫 보름달이 뜨는 정월대보름 날을 가장 뜻깊게 여겨 왔고, 추석 명절 또한 보름날이여서 큰 의미를 가진다. 그렇다면 왜 이처럼 정월대보름과 추석보름날을 우리민족은 신성시해 오는 것일까? 우리 민족은 신라의 가배(嘉俳) 기록 이래로 중국과는 달리 보름달의 비중이 훨씬 컸던 것을 짐작하게 한다. 그것은 달, 여신, 대지의 음성원리(陰性原理), 풍요원리를 기본으로 하였기 때문이다. 달의 상징구조는 여성, 출산, 식물과 연결 짓는다. 여신은 대지와 결합하여 만물을 낳는 지모신(地母神)으로 출산력을 가진다. 이같이 대보름날을 설날처럼 맞이하는 것은 '동국세시기'에도 전해온다.


 '이날 온 집안에 등잔불을 켜놓고 밤을 새운다. 마치 섣달그믐날 밤 수세(守歲)하는 예와 같다'고 전한다.
 정월대보름날 동산 위에 떠오르는 달은 유난히 밝고 크게 보인다. 이 보름달을 맞기위해 낮부터 절식 행사로 약밥, 오곡밥, 묵은 나물과 복쌈, 귀밝이술을 먹는다. 기복, 기동행사로는 볏가릿대(禾竿)세우기, 복토(福土)훔치기, 용알뜨기, 다리밟기, 나무시집보내기, 백가반(百家飯)먹기, 나무아홉짐하기, 곡식안내기 등의 의식을 치른다. 낮동안 이런 일들이 치러지고 저녁이면 농점(農占)으로 달집태우기, 사발점, 그림자점, 집불이, 소밥주기, 닭울음점 등이 있다. 제의(祭儀)와 놀이는 지신밟기, 별신굿, 안택고사, 쥐불놀이(일명 훈서화(燻鼠火)), 오광대탈놀음 등을 즐겼다. 단체 놀이로는 고싸움, 줄당기기, 나무쇠싸움 등의 여러 가지 편놀이가 행해지고 액막이와 구충(驅蟲) 행사도 치러 졌다. 이같은 행사들이 끝나고 나면 고을 사람들은 각기 혹은 마을 단위로 달집을 크게 지어놓고 동녘에서 쟁반같이 둥근달이 떠오르기를 기다렸다.  

 

   대게 달집은 생솔가지와 대나무를 꺾어다 노적볏가리 형태나, 오두막을 만들어서 달이 떠오르면 불을 지핀다. 훨훨 타오르는 불길속에 묵은 한해의 액운을 털어버리고 수복강녕과 제액을 빌며, 그 해의 길흉을 점쳐본다. 불의 활력은 재화(財貨) 증식을 뜻하며, 재생력을 갖게하는 활화산이기도 하다. 불길이 거세게 치솟아 오르면 그해의 풍년을 예고 하지만 불이 타다 꺼지게 되면 흉년이 듦을 예고한다. 또한 이웃마을 불길보다 불기둥이 약하면 제액과 흉년이 찾아온다 하여 달집을 정성들여 지었다. 치솟는 불길속에 폭죽처럼 대나무 마디가 터지면서 나는 소리는 악귀를 쫓는 방편이라니 선조들의 지혜로운 민속행사가 그냥 흥미위주로 치러짐이 아님을 실감할 수 있다. 설날부터 보름동안 날리던 연(鳶)을 비롯한 여러 가지 허접한 것들을 달집 위에 얹어서 다함께 태워 버리면 오히려 마음이 홀가분해 진다.


 올해는 쥐띠 무자년(戊子年)인데 60갑자중 25번째에 등장하는 짐승이다. 쥐는 오랜 세월동안 인간과 함께 살아온 동물로 약 3,600만년 전부터 지구상에 등장했다. 세계 각 지방에 분포하여 가장 번성하고 있으며, 1,800종에 이른다. 쥐가 사람에게 이로운 동물은 아니지만 인간과의 관계는 오래 전부터 시작되어 왔기에 여러 가지 속담이 많다.
 무자년 새해 정월 대보름은 보름달 맞을 성안마을 가장 높은 곳에서 달집을 사르며, 활활 타오르는 불길 속에 부정하고 사악한 것들을 함께 태우면서 망울이! 망울이!(망월 : 望月)를 큰 소리로 외쳐 복을 받으리라.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