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시의회 교육위원회의 행보가 석연찮다는 얘기가 심심찮게 들린다.
 울산시교육청 학교시설단 공사비리를 집중 점검하겠다던 당초의 '액션'에 비해 너무도 무겁기만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 교육위에 대한 핀잔들이다.

 얼마전만 해도 교육계에서 터진 중대비리에 대한 강력한 대응을 천명하고 비회기 중에 긴급회의를 소집하며를 칼날을 겨눴던 교육위였다.
 시민의 대의기관으로서 시민의 알권리를 대변하겠다며 사명감을 언급하기도 했었다. 그랬던 교육위는 2차 업무보고를 사건의 전말을 따지는 것이 아니라 교육청의 대책을 보고받는 자리로 대체하기로 하고 또 이를 비공개에 부치기로 했다.

 앞서 지난 1차 보고 때만 해도 책임자가 출석하지 않아 실체적인 질의와 답변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에 실망을 금치 못하겠다던 의원들이었다.
 그러면서 재차 자리를 꾸려 최소 부교육감 이상 출석을 요구해 학교시설단을 집중해부하고, 비리 재발방지 의지를 시민들 앞에서 확인받겠다며 밝혔던 의지는 어디론가 실종됐다. 그사이 비리사건에 대한 교육감의 사전 인지논란까지 일면서 오히려 의혹이 증폭되고 있지만 교육위는 이에 역행하며 사실상 수습국면에 접어들고 있는 모양새다.

 교육위는 이미 시민들로부터 견제와 비판 기능이 '시늉'에 그치고 있다는 곱지 않은 눈초리를 받아왔다. 사건 표면화단계에서부터 제기됐던 '비리특위' 구성 요구에 대해 교육위는 구속자가 7명까지 불어난 현 시점까지도 '시기상조'라는 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다.

 이 판국에 5명의 새누리당 의원들은 유일하게 특위구성을 촉구하던 새정치민주연합 최유경 의원과 갈라서면서 '보수교육감 감싸기'라는 의혹까지 짊어졌다. 상식적인 납득이 어려운 교육위의 행보는 결국 여당소속 의원 내부에서도 "교육위가 방향타를 잃어버렸다"는 자성의 목소리까지 불러일으키고 있다.
 상황이 이만저만하지 않고, 여기에는 본질적 소임을 숙짓하지 못한 교육위의 책임도 적지 않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교육위의 움직임이 우리교육은 물론, 민주의회의 기능에 대한 불안과 불신을 키우고 자칫 불필요한 의혹까지 더할 수 있다는 책임을 절감해야할 때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