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25일 울산을 물바다로 만든 폭우로 울산지역에서는 울주군 서생 일대와 동구 일산진 마을 일대가 쑥대밭이 됐다. 문제는 이같은 피해에도 불구하고 울산에서는 피해 주민들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인근 부산의 경우 인명피해가 있었다는 점을 근거로 재난지역 선포를 추진하는가 하면 정치권이 발 빠르게 현장 방문 등으로 대책을 모색하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이번 폭우로 울주군 관내에서는 주택 187동이 물에 잠겼다. 서생(134동), 온산(25동), 온양(28동) 등 3개 읍면에 이른다. 울주군에서는 이들 피해 주민을 위해 울산시에 재해구호기금을 요청하고, 올 상반기 집행하고 남은 재난관리기금 13억 원은 응급복구를 위해 임대한 중장비지원 등에 투입하고 있다. 이번 집중호우로 주택이 침수하면서 긴급 대피한 이재민이 울주군에서만 287명에 달하며, 이들은 명산초등학교와 신리 마을회관 등 4곳에 마련된 수용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피해지역별 추가 피해접수가 늘고 있어 피해 규모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와함께 동구의 경우 일산진마을 18가구가 침수됐다. 이번 폭우와 관련해 새누리당에서는 울산시 울주군 지역에 대해 적극적인 피해복구를 요청하는 등 재난관련 특별교부금 지원을 요청한 상태다. 울주군과 동구의 경우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많은 이재민이 현재 마을회관 등에서 숙식하는 등 불편을 겪고 있는상황이다. 더구나 울주군 지역은 주택 침수도 문제지만 농경지 피해가 어느 정도인지 제대로 피해조사도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수해로 인한 피해복구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그래야 피해 주민들의 깊어진 시름도 달래주고 상처 난 아픔도 치유될 수 있다. 아울러 수확을 앞둔 농경지가 초토화 된 곳을 제대로 살펴야 한다. 농경지를 잃은 농민들에 대한 피해도 철저한 조사가 이루어져 지원에서 제외되는 일이 없어야 한다. 서생과 온양지역은 농경지가 많은 지역이고, 이번 폭우로 큰 피해를 입은 곳이다. 과거의 예로 볼 때 재난구역에 대한 지원은 대부분 시설 복구에 국한되고 농작물 피해는 제외된 사례가 많았다. 농산물은 생육에 관한 부분이 심도 있게 다루어져야 실질적인 피해보상이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한 게 우리의 현실이다. 무엇보다 해당공무원들의 세심한 배려와 지원 안내는 엎친 데 덮친 그들의 아픔을 달래는 데 더 없는 큰 힘이 될 수 있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