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베이비붐 세대들의 본격적인 은퇴가 시작되면서 농어촌지역에 새로운 삶의 터전을 마련하고자 하는 도시민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 및 각 지자체에서는 다양한 지원정책들을 내놓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는 지난해 12월 29일에 '귀농·귀촌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해 금년 하반기에 시행될 예정이며, 지자체 차원에서는 지난 9월 울산시가 '제1차 귀농귀촌 연계 도시농업 육성 계획'을 수립했고, 금년 1월 4일에는 울산시의회에서도 '울산광역시 귀농·귀촌인 지원에 관한 조례안'이 발의됐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 추세에 맞춰 각 금융기관에서도 은퇴자 및 예비 귀촌·귀농자들을 위한 맞춤형 금융상품들을 출시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정부 및 지자체들의 움직임들은 인구 감소 방지 또는 유입인구 증가 라는 부차적인 정책 효과도 기대되고 있기 때문에 더욱 관심을 끌고 있으며, 실제 농어촌지역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지역도 있다.
 

 전체 인구의 15% 수준인 17여만 명으로 추정되는 울산지역 베이비붐 세대들이 제2의 고향인 울산에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귀농·귀촌 활성화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귀농인과 귀촌인에 대한 차별적 지원정책 마련이 바람직하다. 먼저 '귀농인'이라 함은 농어촌 이외의 지역에 거주하는 농업인이 아닌 사람이 농어촌 지역으로 이주한 사람으로서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을 말하며, '귀촌인'이라 함은 농업인이 아닌 사람 중 농어촌에 자발적으로 이주해 농어촌지역에서 실질적인 소득활동을 하는 사람을 말한다.
 따라서 이들이 안정적인 농어촌 정착을 위해 필요로 하는 것들이 다르기 때문에 이들을 위한 지원정책도 차별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아울러 농어촌 정착이 상대적으로 쉬운 귀촌정책을 우선 추진하고, 귀촌이주민들을 겸업농가와 전업농가로 육성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 생각한다.
 둘째, 귀농·귀촌인들도 가칭 '귀농·귀촌 한마음 봉사단'을 구성해 지역사회에 대한 봉사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이 필요하다.
 귀농·귀촌인들의 18%가 지역 원주민들과의 갈등을 겪었다는 실태조사 결과가 말해주듯이 이주민과 원주민간의 갈등이 문제가 되곤 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귀농·귀촌 한마음 봉사단을 구성해, 각자 가지고 있는 재능을 활용해서 지역사회에 재능기부 활동을 한다면 갈등 해소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셋째, 예비 귀농·귀촌인 육성을 위하여 영농실습장을 운영하자. 영농실습장은 지자체 보유 유휴부지를 활용하든지, 공업과 농업이 상생하는 그린 울산을 위하여 생산활동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울산공단 내 공장 옥상이나 자투리 땅을 텃밭으로 활용해 영농실습장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농어촌지역에 점점 증가하고 있는 폐농가를 지자체에서 임차하여 체류형 영농실습장으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다.
 마지막으로, 귀농·귀촌에 대한 언론 매체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 귀농·귀촌 준비단계에서부터 정착단계까지의 교육과정 소개 및 성공사례와 주의할 점 등을 홍보하면서 범시민적 관심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최근 농촌 관련 방송프로그램의 잇단 폐지 등으로 도시민들이 농촌생활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방송매체 등의 귀농·귀촌에 대한 관심 제고는 귀농·귀촌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