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성민 청소년기자(매곡고2)

최근 선진형 교과교실제를 시행하는 학교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선진형 교과교실제는 2009년부터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시행했으며,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하는 미국식 선진형 교육제도이다.
 선진형 교과교실제를 실시하는 학교는 복도 중심에 일명 '홈베이스'라는 대형 사물함이 있다. 학생들은 그 곳에 교과서나 체육복 등을 보관한다.


 그리고 복도의 한 공간에는 미디어스페이스가 있다. 미디어스페이스는 학생들이 토론 등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소며, 컴퓨터를 사용해 원하고자 하는 교육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공간이다.
 선진형 교과교실제의 일과는 담임선생님이 아침 조례를 한 후, 각 반은 시간표에 따라 담당선생님의 교실로 찾아가서 수업을 하고, 수업이 모두 마치면 자기 교실에서 종례를 한다.
 교과교실제의 특징은 과목에 해당하는 교실에 다양한 활동으로써 수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학생들의 수업참여도를 높이는 것이다.
 또한 교사의 입장에서는 자신이 가르치는 전용교실에서 그 과목에 맞게 교실을 만들어 수업을 준비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들이 있는데 반해 학생들이 느끼는 교과교실제는 부정적인 경우가 많다.
 우선 첫번째로, 전교생이 매 시간마다 자기 과목에 해당하는 교실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복도가 매우 혼잡하고, 엉뚱한 교실로 찾아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다.
 또 두 번째, 쉬는 시간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쉬는 시간 10분 안에 홈베이스에서 책을 챙기고 그 해당 교실까지 이동을 해야한다.
 이는 화장실 갈 시간과 친구들과의 담소 나눌 여유 등도 부족하며, 잦은 이동으로 흐름마저 깨버려 수업에 집중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특정 학생을 찾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선생님이 그 학생을 부르거나, 전달해줄 것이 있을 때, 그 학생을 찾으려면 학교 온 곳을 돌아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교과교실제는 누구를 위한 제도인가? 취지는 좋지만, 막상 시행해본 결과 불편한 점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
 이러한 단점들을 없애기 위해 교육부는 좀 더 나은 개선방법을 찾도록 노력해야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