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김미영 경제부기자

"이런 기사 나오면 좋아할 줄 아세요? 우리만 더 힘들어집니다."
 최근 지역 기업 활동을 위축시키는 울산 지자체의 행정을 기사로 다뤘다. 업무처리 지연은 말할 것도 없고, 업무 전가와 적당주의, 선례 답습, 법규 빙자 등의 소극적인 행정으로 기업들이 답답해 한다는 내용이었다.
 기사가 나간 뒤 "기사 잘 봤다. 그동안 지역 경제계에 팽배했던 불만을 다뤄줘서 고맙다"는 반응이 나온 반면, 오히려 나중에 괴씸죄로 인해 산업활동에 피해를 입지 않을까 우려하는 이들도 있었다.
 이번 기사는 울산지역 기업과 경제지원기관 관계자들을 통해 '의외로' 울산에서 기업하기가 어렵다는 사실을 증명한 사연들이 계기가 됐다. 취재하는 과정에서 양산시의 적극적 행정과 대비된 울산 지자체의 융통성 없는 행정으로, 공장부지 확보에 10년이 걸린 경우가 있었다는 어처구니 없는 얘기까지 들었다.


 울산산단에서 제조업를 운영하는 한 대표는 "행정은 안 된다고만 할 게 아니라 일을 성사시킬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할 줄 알아야 하는데, 기존산업이 가져다 준 부에 안주하는 배부른 공무원들이 책상머리에 앉아 있으니 지역경제가 더 이상 발전하겠냐"면서 '울산에서 기업하는 이'로서 겪는 고충을 쏟아냈다.
 그래도 울산이 기업하기 좋은 도시라고 우긴다면, 그 이유는 대기업 때문이라고 감히 장담한다.
 울산이 기업하기 좋은 도시라는 사실은 울산시 행정력의 결과물이 아니라, 우리나라 모든 대기업이 소재한 산업적 특성에 따른 것임을 명확히 인식해야 한다. 대기업으로 인해 중소기업들이 납품할 수 있는 큰 시장이 형성된 덕분이다.


 울산시가 창조경제니, 지식형경제니 경제체질 개선을 위해 애쓰는 것도 필요하다. 하지만 무엇보다, 기업의 현 애로사항에 대해 해결의지를 갖고 덤비는 자세로 공무원들이 변해야 지역이 발전할 수 있다.
 그나저나 이 기사가 나간 후 울산지역 공무원들이 불만을 쏟아냈다. "투자여건 조성을 위해 산업용지를 공급하고 있고, 정부정책에 따라 신·증설기업에 대해 각종 인센티브 지원을 하고 있는데 무엇이 문제란 말인가?"
 울산시가 앞으로 갈 길이 멀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