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뭔가 터졌다하면 '또 울산?'이라는 반응이 자연스럽게 나올 정도다. 지난 3일 한화케미칼 울산공장 폭발사고로 울산은 '산업단지 사고다발지역'이라는 나쁜 이미지가 고착화되는 실정이다.
 남구 여천동 한화케미칼 울산 2공장 폐수처리장에서 발생한 폭발 사고로 6명이 숨지고 1명이 다치는 등 7명의 인명피해가 났다. 경찰과 소방 당국은 폐수 저장조 상부에서 용접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잔류 가스가 폭발한 것으로 보고 정확한 피해 규모와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노동지청은 폭발사고 직후 곧바로 한화케미칼 울산2공장 내 증설중인 각종 공사와 함께 울산2공장 전체 6개 생산공정 가운데 절반에 이르는 3개 공정에 대해 작업중지를 내렸다.

 당국의 이 같은 일련의 조치를 접하면서 드는 의문. 노사분규와 산업사고 중 어느 쪽이 산업계에 미치는 노동력 손실이 클까. 노사분규로 인한 피해가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정답은 산업사고다. 근로손실일수로 따져보면, 산업사고가 노사분규의 100배를 웃돈다.
 이처럼 산업사고는 기업경쟁력을 갉아먹는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사업주들이 안전사고 및 산재 예방 투자에 선뜻 나서지 않는 것은 '비용절감'과 무관하지 않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단기 실적에 목을 매는 기업 입장에서는 산업안전에 대한 투자를 비용으로 생각하고 돈 쓰는데 인색할 수 밖에 없다. 안전에 대한 관리 비용을 '투자' 개념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이 무색하다.

 안전사고 책임자에 대한 솜방망이 처벌이 사고를 되풀이한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산업사고가 반복되는 데는 당국의 솜방망이 처벌이 한몫하고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이젠 '일벌백계(一罰百戒)'가 아닌 '백벌백계(百罰百戒)'로도 부족하다는 인식과 함께, 사고 책임자에 대한 엄중한 처벌이 필요하다. 한화케미칼로서는 빠른 공장 운영을 위해 벌인 작업이 사고로 이어지면서 공장 가동은 일시에 멈췄고, 언제쯤 가능할지도 기약이 없다. "안전사고 한 번이면 회사가 무너질 수 있다"는 위기의식으로 무장하는 산업계의 인식 전환이 그 무엇에 앞서 절실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