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류병재 청소년기자(학성고1)

올해 들어 신용등급이 하양 조정된 기업이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정부의 부실기업 구조조정 움직임이 본격화하고 대기업의 잇따른 '실적 쇼크'가 나타나면서 기업 신용등급이 바닥을 치고 있는 것이다.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이 올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것과 대조를 이뤘다.


 지난 8일 국내  3대 신용평가사인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올해 1~10월 신용등급이 강등된 기업은 45개사 (부도 1개사 포함)로 나타냈다.
 또 다른 신용평가사인 나이스 신용평가는 올해 들어 10월까지 56개 기업의 신용등급을 내렸고, 한국기업평가는 1~9월에 42개(부도 2개 포함)기업 등급을 하양 조정했다.
 지난해까지는 조선, 해운, 건설 업종의 신용등급 하락이 두드러졌지만 올해는 모든 업종에서 등급 하락이 일어났다.
 세계경기 회복세가 늦어져 수출이 부진한 상황에서 기업 구조조정 이슈까지 불거지자 대기업 신용등급도 떨어졌다.
 삼성그룹, 두산그룹, 포스코그룹의 일부 계열사의 신용등급이 떨어졌고, SK에너지, SK인천석유화학, GS칼텍스, GS에너지 등 대기업 계열 석유화학 업체와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 항공업체의 등급도 떨어졌다. 신용등급이 떨어지면 기업들은 회사채 발행을 위해 고금리를 제시해야 하고, 이도 안 되면 은행으로 발길을 돌려야 한다.


 자금 조달에 드는 비용이 늘어나고, 이에 따라 부실해지는 기업이 늘어날 수 있는 상황이 된 것이다.
 일각에선 가계부채가 턱밑까지 찬 상황에서 기업부채가 부실화하면 한국 경제에 '부채 위기'가 찾아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실제로 최근 회사채 시장 상황은 심상치 않다. 대기업들의 실적 부진과 이에 따른 실용등급 강등, 정부의 기업 구조조정 움직임이 맞물리면서 회사채로 조달한 금액보다 갚은 금액이 더 많다.
 보통 3년 만기인 회사채 발행이 어려워지자 만기가 1~3개월로 짧은 기업어음(CP) 발행이 늘어나기도 했다.
 금융당국은 회사채 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하면서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
 기업의 신용등급 강등은 최소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