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치부

내달이면 6명의 울산 당선인이 국회에 입성한다. 재입성이든 첫 진입이든 의사당 입주를 앞두고 있는 당선인의 발걸음이 결코 가볍지만은 않다. 당장 보좌진 구성이 난제다. 보좌진은 사실상 동반자 관계일뿐 아니라 일부 유능한 보좌관은 국회의원 대리인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일부 당선인은 이런 보좌진 역할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친소관계나 선거 때 공로를 내세워 막무가내로 뽑고 있어 지탄의 대상이 되고 있다. 

 A 당선인은 능력 부족으로 퇴출된 모 보좌관을 친분이 있다는 이유로 검증 없이 채용했고, B 당선인은 유능한 모 인사를 면접까지 봐 놓고 다른 사람을 뽑아 도마 위에 올랐다. C 당선인은 이번 총선 때 자신을 도왔던 인사라는 이유로 능력 검증없이 보좌관을 선발해 혈세를 낭비한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국회 상임위 문제는 모든 당선인이 안고 있는 고민이다. 위원장과 간사 자리를 포함해 상임위를 잘 골라야 의정 활동 충실도도 높고 성적도 좋지만 자기 마음대로 되는 게 아니다. 현재 새누리당 울산 의원들은 법제사법위원회(정갑윤), 산업자원위원회(이채익) 기획재정위원회(박맹우) 등을 선호하고 있고, 무소속 당선인들은 국토교통위원회(강길부), 환경노동위원회·산업자원위원회(윤종오·김종훈) 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하지만 권역별로 많아야 1~2명만 해당 상임위에 배치될 수 있고, 특히 일부 당선인은 자신의 의도나 지역 실정과 전혀 무관한 상임위를 떠맡을 수도 있다. 강길부 무소속 당선인은 새누리당 입당이 지연될 경우 제일 후순위로 상임위를 배정받게 된다. 대부분 3선과 재선 당선인은 각각 상임위원장과 상임위 간사를 목표로 동분서주하고 있다. 그렇지만 자리는 제한돼 있고 희망자는 많아 애를 태우고 있다. 4년간 의정 활동 성적은 21대 총선 때 표(票)로 돌아온다. '시작이 반'이라는 말처럼 울산 당선인들은 첫 테이프를 잘 끊어야겠다는 각오가 크지만 장애물이 산적해 마냥 즐겁지만은 않은 상황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