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회부

지역 교육계에서 학생 수용은 항상 '난제'다. 과거엔 "지어달라"는 민원으로 북새통이었다. 울산이 광역시로 승격한 이후 공급이 절대적으로 달렸던 시절이 그랬다. 그러다 언제부턴가 "모교의 통폐합 반대"를 외치며 총대를 맨 열사들로 한바탕 시끄러웠다.

 저출산 기조로 수요가 줄어드는 반전이 찾아온 이후부터였다. 교육청은 패턴이 바뀔 때마다 '수용 셈법' 찾기에 진땀을 빼야했다. 그래도 여기까지는 그나마 단순했다. 전체적인 도시성장의 사이클이 바뀌면서 최근 학생 수용의 매커니즘은 복잡다단해졌다.

 공동화됐던 구도심이 재개발로 다시 꿈틀대거나 온통 전답이었던 외곽이 불야성으로 그 증거다. 이제는 학교는 단순히 줄이고 늘리는 방식이 아니라 학생들을 쫓아다녀야할 처지에 놓였다. 가장 큰 복병은 대규모 택지개발과 인구 이동이다. 골치 아파진 정부는 일단 신설 올스톱 진단을 내렸다.

 그러면서 구태한 '수요와 공급의 논리'만 잣대로 내밀고 있다. '출산이 늘지 않는 한 추가 공급도 없다'며 단순하게 정리해버린 것이다. 당장 호계매곡지구내 호계초가 수용대란을 눈앞에 두고도 학교를 짓지 못하고 있는 사유다. 호계초는 중앙 투융자심사에서 벌써 4차례나 딱지를 맞았다. 때문에 줄줄이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북구는 당장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이대로 가다가는 수용대란이 불가피하다. 그때 가서 "국비 지원이 없어서"라고 변명해봐야 구차할 뿐이다. 돌파구는 결국 우리 몫이다. 정부의 셈대로 전체 숫자는 늘지 않았으니, 분명 일부에서는 학생이 빠져나가고 있다. 구태한 과거의 판을 모두 엎어버리고 인구 이동에 맞춘 학생수용의 새판을 짤 '강단'부터 키울 일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