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성신고가 일반고 유턴을 검토한다는 보도는 예상대로 파장이 컸다.

 보도가 나간 오전부터 수일간 학부모들과 지인들의 문의 전화가 빗발쳤다.

 하나같이 당혹스럽다던 그들은 '학교 간판'에 대한 고민을 공통분모로 안고 있었다.
 그들은 자녀들이 대입에서 유리한 입지를 확보할 수 있도록 자사고에 보냈다.

 속속들이 알 순 없지만 '때깔'나는 학교에 진학시키기 위해 겪었던 저마다 속사정이 있을 터.
 우선 연간 400만원이 넘는 등록금 부담은 물론이고, 진학 전에 쏟았을 사교육비에 허리가 휘청거렸을 게다.

 강도 높은 학업부담을 무릅쓰느라 충혈된 눈으로 자사고만 바라보았을 아이들의 고생도 충분히 짐작이 가능하다.

 당시만해도 학교가 경영적 어려움에 부대껴 일반고 전환을 검토하리라고는 꿈도 꾸지 못했을 그들이다.
 그러나 성신고의 고민은 출발부터 예견됐었다.

 전 정부는 이른바 '수월성 교육'에 치중했고, 이를 위한 교육과정 다양화에 진력했다.
 소수에 불과했던 '자립형사립고'를 '자율형사립고'로 확대한 것은 이 때문이다.

 일반고였던 성신고 역시 이 때 교육청의 권유를 수용해 자사고에 합류했다.
 그러나 정권이 교체되면서 수월성 교육은 희석되고 '진로집중과정'이 새로 등장했다. 
 이로 인해 정부의 관심에서 멀어진 자사고들은 재정압박에 시달리고 있다.

 특히 사회통합전형이 미달될 시 정부가 약속했던 보전이 지켜지지 않은 것은 치명적이었다. 여기다 올해부터는 비정규직 인건비 지원 마저 끊겼다.

 성신고는 장고끝에 자구책을 내놓고 일단 2차 지정기간인 2020년까지 만이라도 자사고를 유지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마저 또 어찌 될 지 모를 일이다.
 곧 대선이 닥치면 후보들은 앞다퉈 교육정책을 흔들어 대는데 혼신을 쏟을 것이다. 4년 마다 오락가락하는 정책에 '교육은 백년대계"라는 말이 무색할 뿐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