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9월 12일 경북 경주시에서 진도 5.8의 지진과 계속되는 여진발생으로 인하여 전국이 혼란에 빠졌다. 한반도가 더이상 지진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점은 전문가의 의견이 아니더라도 국민들이 몸소 느끼고 있고 지진대피용품 품귀현상을 보더라도 국민들의 지진에 대한 불안감이 어느 정도인지 짐작할 수 있다.
 그 불안감의 또 다른 중심에는 원자력발전소가 있다. 일부 언론은 당장 원자력발전을 폐쇄하기위한 계획을 세워야한다고 주장하는데 과연 이번 지진의 대책으로 원전폐쇄가 답일까?
 먼저, 원자력발전의 생산전력은 무엇으로 대체할 수 있을까? 원자력발전은 우리나라 전력의 30%를 담당하고 있다. 화력이 30%지만 이산화탄소 배출문제와 연료고갈의 문제로 생산전력을 늘릴 수 없는 현실이다.
 대안으로 떠오르는 풍력 및 태양열 등 신재생에너지는 10%를 담당하고 있지만 아직 생산대비 효율이 현저히 떨어져 원자력발전소를 대체하기에는 무리다. 특히 우리나라같이 국토가 좁고 인구가 많은 나라에서는 아직 보완해야할 점이 많다.
 그렇다면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을까? 매년 여름이면 전력사용량이 최고치를 갱신했다는 뉴스를 심심찮게 들을 수 있다. 실제 한전에서 발표하는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최대전력은 전년 동분기보다 4%이상 증가했으며 폭염이 닥친 8월에는 작년 여름철보다 10%이상 증가했다고 한다. 그리고 기후변화로 인해 향후 전력수요는 점차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하는데 가정 및 기업의 소비전력을 절감하긴 쉽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점을 보았을 때 원자력을 폐쇄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문제가 많다. 그렇다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원자력발전소의 장점을 활용하고 단점을 보완해나가는 것이다. 현재원자력발전소의 내진설계는 6.5~7.0수준이다. 이는 20~30년전 설계한 값으로 주기적으로 평가해 현실에 맞게 재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원자력발전을 운영하는 한국수력원자력은 지진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위해 적절한 대책을 강구해 국민들의 불안감 해소에 노력해야할 것이다. 
 자연재해는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 다만 예측하고 대비해 피해를 최소화해야한다. 이번 지진이 원자력발전소의 존립에 위기임이 틀림없다.
 하지만 이번 지진을 계기삼아 원자력발전의 안전성을 재검토하고 추후 내진등급 향상 등을 반영해 더 안전한 원전을 운영하는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