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 장생포가 지난달 25일 고래특구로 지정되면서 울산 장생포의 '고래산업 역사'에 대한 고증작업이 본격적으로 이뤄진다는 소식이다. 지난 2005년부터 시작된 전국의 특구 지정이 그동안 경제적 관점만 강조되어온 점에 비춰볼 때 장생포 고래산업의 역사성을 고증하는 작업은 큰 의미가 있다. 이는 지금 한창 찬반논쟁이 붙어 있는 고래의 식용화에 대한 역사적 검증작업을 하는 것이기도 하다. 울산 장생포는 지난 1899년 고래잡이 전진기지가 세워지는 등 1세기 가량 포경산업이 번성했던 곳이다. 그러나 1986년 고래포경위원회(IWC)의 고래잡이 유예(모라토리움)조치로 포경이 금지된 후 포경산업의 쇠락과 함께 그 기록조차도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울산 남구청은 이에 따라 장생포 포경과 포경산업에 종사했던 어민 등을 중심으로 장생포의 역사를 복원하고 기록해 장생포 지방사의 원형을 찾는 용역에 착수하기로 했다고 한다. 현재 생존해 있는 고래잡이 포수나 고래 해체 기술자, 고래잡이 선원 등이 극소수에 불과하다. 이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녹취와 증언 등을 통해 당장 정리하지 않으면 영원히 고래잡이에 대한 기록은 사라질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남구청이 내년부터 예산을 반영해 장생포 역사를 고증하는 용역을 맡기기로 한 것은 환영할 일이다.
 사실 울산 장생포가 고래특구로 지정된 이후 일부에서는 고래박물관과 고래관련 음식점이 전부인 장생포를 특화된 관광지로 보여줄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 문제는 울산과 장생포, 그리고 고래를 연결하는 끈끈한 역사성에 있다. 여기에는 반구대 암각화라는 훌륭한 문화자산이 버티고 있다. 반구대야 말로 울산을 고래도시로 대표할 수 있는 문화적 아이콘이다. 선사시대 이래도 고래를 잡고, 이를 하나의 문화로 만들어온 지역적 자산이 반구대 암각화에 고스란히 새겨져 있으니 얼마나 다행스런 일인가. 남구청은 이번 역사적 고증작업에서 반구대 암각화를 현재의 고래문화와 연결하는 작업에도 심혈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고래문화의 역사성을 이야기 할 때 반구대를 빼놓을 수 없듯이 고래산업의 역사를 고증하는 작업에서도 반구대 암각화는 언제나 그 중심에 있어야 한다. 남구청에서는 장생포 포경산업의 맥을 잇기 위해 우선은 지난 20년 이전의 장생포항 사진자료나 포경선 일지 등을 찾아 나서겠지만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과정에서는 반구대 암각화를 정점으로 이를 정리하는 작업도 게을리 해서는 안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