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강현주 기자

최근 도심에 방치된 폐창고들이 문화예술 공간으로 속속 변신하고 있다.
 오래된 창고 안에 현대적인 예술 작품이 자리한 모습은 산업시대의 유산과 최신 디자인이 대조를 이루며 독특한 분위기를 만들어낸다. 이렇게 변신한 폐창고, 폐공장 등은 지역의 랜드마크로 떠오른다.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역문화 대표 브랜드 대상을 차지한 전북 완주의 '삼례문화예술촌'과 부산의 '비욘드 가라지', 전남 담양의 '담빛예술창고' 등이 대표적 사례다.
 그동안 우리는 산업적으로 퇴락해 버려진 시설들은 경관을 해친다고 생각해왔다. 여기에는 낡은 것은 부수고 새로운 것을 더 쌓아 올려야 한다는 개발논리도 작용했다. 하지만 도시 환경은 점차 변화하고 있다. 도시를 무분별하게 재개발하는 시대가 가고, 역사와 문화 자원을 활용하는 도시 재생의 시대가 오고 있다. 도시 재생 사업은 단순히 물리적 공간만을 되살리는 것이 아니다. 도시라는 공간에 새로운 가치를 더해 오래된 장소의 활용가능성을 발굴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변의 사회, 문화적 변화를 함께 이끌어낸다.

 도시 재생은 도시의 역사와 문화의 가치를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해 나가야 한다. 또한 도시를 과거, 현재, 미래를 연결시켜주는 통로이자 지속적으로 되살려나갈 수 있는 자원으로 바라봐야 한다.
 이 같은 도시 재생 사업은 지역 문화 브랜드 사업과 지역 경제 활성화, 나아가 관광자원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울산은 지난 50여 년간 급속한 산업성장을 이뤘다. 울산도 이러한 산업도시 이미지를 탈피하기 위해 장생포 고래 문화마을 조성, 중구 원도심 재생 등 낡고 오래된 산업 시설에 문화적 가치를 불어 넣는 움직임이 늘고 있다. 이러한 사업으로 최근 경기침체로 우울한 도시에 새로운 희망의 색채를 입혀주는 계기가 마련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