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자력발전소 인근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광경을 이따금 목격할 수 있다. 바로 지역 주민들이 원자력발전소에 대해 반감을 드러내며 부착한 수많은 현수막이 걸려있는 모습이 그것이다.
 현수막의 내용들을 보면 원자력발전소의 운영에 대한 성토에서부터 특정인에 대한 비난, 그리고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지역 사회의 불만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지역사회와 원자력사업자의 갈등, 이것은 사업자인 한국수력원자력끳에게는 해묵은 과제이자 지역 주민에게는 안전과 생계가 걸린 중요한 문제일 것이다.
 이러한 갈등이 발생하는 주된 원인은 원자력발전소의 안전과 거주환경에 대한 우려가 될 수도 있고, 발전소가 들어섬으로 인해 얻는 편익보다는 좋지 않은 요인이 더 크다는 경제적인 판단도 일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불안감이다. 정확히 말하면 원자력사업자에 대한 지역사회의 신뢰 문제가 아닐까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현실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원자력발전소 운영을 중단한다던가 폐쇄할 수는 없는 만큼 지역사회와 원자력발전소는 함께 공존하며 상생의 길을 찾아야  한다. 원자력사업자는 지역사회가 최소한 원자력발전소가 생기기 전보다는 더 나은 여건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해줘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렇지 않고서야 앞으로 어떤 지역에서 원자력발전소를 용인하겠는가.

 원자력발전소에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생활터전을 내어주고도 원전 주변지역이라는 지리적 특수성으로 인해 주민들이 받은 불안감과 경제적 불이익을 감래하면서까지 원자력발전소 건립을 받아들일 곳은 없을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사업자는 원자력발전소의 주민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부산 기장과 울주군에 들어선 원전을 운영·관리하는 한국수력원자력 고리원자력본부 또한 지역사회와의 갈등과 우려를 줄이고, 원자력발전소 운영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들을 마련해 주민들과의 접촉면을 넓히고 있다.

 무엇보다 지역 주민의 소득 증대를 위해 지역 특산품 홍보 및 구매 운동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을 뿐 아니라, 별정직 고용 시 지역 주민을 우선적으로 고용하는 등 일자리 창출에도 적극 노력하고 있다.
 특히, 단순 보여주기 식의 부서와 자매마을 간의 매칭을 통한 지역사회 공헌 활동에서 벗어나 기장과 울주군의 총 76개 마을을 대상으로 실제 마을 주민들의 삶에 도움이 되는 자매마을 활동을 시행하고 있다.

 최근 발전소와 가장 가까이에 위치한 기장군 장안읍 마을 관계자들이 9.12 경주 지진 당시 원전의 안전을 위해 비상 근무하고, 지난해 10월 태풍 '차바'로 인한 피해복구 지원에 대한 감사 인사로 고리원자력발전소 전 직원을 대상으로 박카스와 영양제를 전달한 것은 지역사회와 원자력발전소가 동고동락하는 모범적이고 감동적인 모습이라고 할 수 있겠다.

 원자력발전소는 국내 총 전력 생산의 31.5%를 감당하고 있는, 우리나라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국가 기반 시설일 뿐 아니라, 안전하게만 운영된다면 원자력만큼 환경친화적이고 경제적이며, 가장 효율적인 에너지원은 없다.

 따라서 지역사회도 원자력발전에 대한 무조건적인 '반대를 위한 반대'보다는 합리적이고 열린 마음으로 원자력발전소에 한걸음 더 다가선다면 지역사회와 원자력발전소가 함께 나아갈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