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냉이꽃                                                            
                                                                                  이근배
 
어머니가 매던 김 밭의
어머니가 흘린 땀이 자라서
꽃이 된 것아
너는 사상을 모른다
어머니가 사상가의 아내가 되어
잠 못 드는 평생인 것을 모른다
초가집이 섰던 자리에는
내 유년에 날아오던
돌멩이만 남고
황망 하구나
울음으로도 다 채우지 못하는
내가 자란 마을에 피어난 너
여리 운 풀은
※ 이근배 시집 '노래여 노래여'


● 이근배 시인- 1940년 충남 당진 출생. 1961년부터 1964년 사이 경향, 조선, 서울, 동아, 한국 각 일간지 신춘문예에 시, 시조, 동시로 등단. 월간 '한국문학' 발행인 겸 주간, 한국시인협회 회장 등을 역임. 현재 대한민국예술원회원. 가람문학상, 한국 문학 작가상, 육당문학상, 편운문학상, 현대불교문학상 등 수상.

 

▲ 박성규 시인

봄날 들녘에 나가보면 냉이 꽃이 지천으로 핀다. 생명력이 강하여 척박한 땅에도 뿌리를 내리고 꽃을 피운다. 가을 어귀쯤에 돋아나 겨울을 지내고 봄이 되면 동면에서 깨어나 제 세상을 맞이한다.
 냉이는 먹을거리가 부족한 시기에는 밥상위의 반찬 중에서는 으뜸이라 해도 틀린 말이 아닐 것이다. 요즘은 마트나 시장에 가면 흔하게 구입하여 된장국이나 나물로 해 먹을 수 있지만, 당시에는 소쿠리와 호미를 들고 지천으로 캐러 나갔었다. 겨울동안 얼고 녹기를 몇 번 반복해야 맛이 달콤해진다.
 금년에는 생각보다 한파가 잦아 얼고 녹기를 몇 번이나 했다 싶어 냉이를 캐러 나갔었는데 생각 외로 캐질 못했다. 허탕 친 셈이다. 그 많던 냉이들이 어디로 갔을까. 생태계 변화로 사라지고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봄이 되면 여기저기서 하얗게 꽃을 피우리라. 꽃이 지고 씨앗을 맺기 시작하면 씨앗 하나하나를 떨어지지 않게 떼어서 두 손으로 비비면 달가닥 달가닥거리는 소리를 들으며 장난감으로도 사용했는데….
 이근배 시인은 어머니의 땀이 자라서 냉이 꽃이 되었다고 한다. 그래도 어머니의 사상도 모른다고 했다. 냉이꽃에 어머니의 인생을 겹쳐 놓음으로 인해 더 간절함이 배어 있는 작품 속에서 우리는 다시 어머니를 만나고 있다. 어머니의 삶을 냉이 꽃으로 비유해서 그런지 냉이의 상큼한 맛이 입안에서 번져 온다. 어머니의 젖내처럼.
 박성규 시인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