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시가 기후·대기분야를 포함한 환경부서의 조직을 '과'단위로 격상하고 시민안전실 조직확대를 신중히 검토한다는 소식이다. 잘한 결정이다. 울산시는 기후·대기분야 업무는 사람과 자연이 함께하는 생태환경도시를 지향하는 울산의 중요한 문제다.

이와 관련 울산시는 향후 관계부처의 조직변화와 울산시의 조직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후·대기 분야를 포함한 여타 환경부서의 조직진단시 '과'단위 격상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현재까지 울산시는 기후·대기분야 담당 조직과 관련 광주와 대전에 비해 직제는 작지만 정원은 오히려 많이 배치했으며 2016년 정부합동평가 재비산먼지 저감 실적분야에서 특광역시 중 1등을 할 정도로 기후·대기분야 이슈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입장이지만 부족한점이 여전하다. 이를 보다 확대하고 구체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지난해 태풍 차바 내습 이후 더욱 커졌다.

이 때문에 울산시는 앞으로 지역의 특수성을 감안해 화학안전사고 등의 재난에 대비하기 위해 전문조직의 보강을 비롯해 시민안전분야와 전문 특화된 재난관리를 위한 효율적 조직운영 방안을 다각도로 신중히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한반도의 기후 변화가 예사롭지 않다. 지난해 여름 이후 울산 지역은 마치 아열대 지역을 방불케하는 기습 호우와 습한 기후로 시민들의 일상을 불편하게 했던 기억을 가지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울산지역의 여름 기후는 이상기후의 전형이었다. 19년 만의 최고 기온을 기록하는가 하면 연일 폭염주의보가 이어지고 열대야 일수도 크게 늘어났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울산지역 평균 기온이 오는 2100년대가 되면 17.32도에 이를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와 있다. 먼 이야기 같지만 이 같은 전망이 사실이라면 심각한 문제가 따른다. 기후 변화는 해마다 체감지수가 민감할 정도로 우리 일상의 문제가 됐다. 2100년의 수치지만 이는 해마다 기온이 오르고 있고, 그에 따른 국지성 호우, 폭설 등이 동반되기 때문에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라는 이야기다.

무엇보다 울산지역의 경우 기후 변화에 따른 대책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다는 점이 문제다. 각종 재난·재해나 물 관리 문제 등 선제적인 대응이 시급한 상황이다. 태풍 차바와 같은 재난은 언제나 다시 올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선제적인 대응이 시급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