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민 10명 중 8명은 재난 영화 '판도라'에 나오는 것과 유사한 원자력발전소 폭발 사고가 실제 한국에서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드러난 조사결과가 나왔다. 환경보건시민센터는 서울대 보건대학원 직업환경건강연구실과 공동으로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서치뷰에 의뢰해 전국 19세 이상 휴대전화 가입자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한 결과, 응답자의 77.2%가 이처럼 답했다고 밝혔다.

반면 '판도라'와 유사한 폭발이 국내에서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은 9.3%에 불과했다. 때마침 고리원전에서 방사성물질이 누출되는 중대사고가 발생할 경우 울산·부산·양산 지역 주민들이 방사선 비상계획구역인 반경 20㎞ 밖으로 대피하는데 무려 22시간이 걸린다는 조사도 발표됐다. 민간연구기관인 원자력안전연구소(준)와 부산환경운동연합은 '고리원전 중대사고 대피 시나리오 기초연구'를 통해 시뮬레이션 결과를 내놓았다.

원자력안전연구소의 이번 연구는 고리원전을 중심으로 상하좌우 20㎞ 정방형 구역 내에 있는 부산시, 울산시, 경남 양산시 등 3개 지역의 인구 170만명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이번 대피시나리오 연구 평가대상에 울산은 울주군 삼동면·삼남면·웅촌면·청량면·서생면·온양읍·온산읍, 남구 선암동과 옥동 등 9개 읍면동이 포함됐다.

주민 대피는 고리원전의 방사성물질 누출사고 발생 30분 후 통보된 것으로 설정해 부산·울산·양산 지역 주민 대피 상황을 확인했다. 그 결과, 이들 지역 전체 인구 170만명이 고리원전 반경 20㎞ 밖으로 대피하는 데는 22시간이 걸렸다.  연구소 측은 주민들이 사고를 인지하고 실제 대피까지 1~2시간이 걸리는 점을 고려해 지자체 차원에서 원전사고 조기경보 시스템 도입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아울러 원전 인근 주민들이 대피시나리오를 숙지하고 상황에 따른 직·간접적인 피난훈련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울산의 경우 원전지역 주민들은 잠재적 위험을 안고 살고 있다. 방사능이 누출돼 사고로 이어질 확률은 극히 낮지만, 100% 안전하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 문제는 울산이 원자력 발전소를 아래 위로 둔 원전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안전문제에서 소홀히 다뤄지고 있다는 점이다.

울산은 원전 피해가 가장 많이 노출된 도시지만 원자력발전소가 시 경계선 밖에 있다는 이유로 안전관련 투자에서 소외돼 왔다. 만약의 상황이지만 사고가 날 대 대피와 관련한 전방위적인 매뉴얼 확립이 필요한 상황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