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잇따라 돌고래가 폐사한 울산 남구 장생포 고래박물관의 부실한 사육시설 관리 실태가 드러났다.  
 29일 이정미 정의당 의원, 동물권단체 케어, 동물자유연대, 핫핑크돌핀스 등 민관공동조사단은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국내 8개 고래류 사육시설 민관공동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환경부, 해양수산부와 함께 지난 2월 22일부터 3월 3일까지 진행됐다. 수온, 수질, 조명, 소음 등 시설관리와 사료급식방법, 건강관리차트, 수의사 등 돌고래 건강관리를 점검했다.
 이번 고래류 사육시설에 대한 공동점검은 서울대공원이 1984년 돌고래 쇼를 시작한 이래 33년 만에 처음이다.

 조사 결과 장생포 고래박물관은 총면적은 법적기준(수면적 84㎡, 깊이 3.5m 이상)을 만족했지만, 여러 개로 쪼개진 개별 수조의 면적이 법적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했다.
 최근 일본에서 수입한 큰돌고래를 격리 중인 수조는 38㎡로 법적기준의 절반에 불과했고, 보조수조도 칸칸으로 나뉘어 있어 실제 공간은 훨씬 좁았다. 
 사육시설 8곳 중 5곳은 돌고래의 건강을 관리하는 수의사가 상주했지만 장생포 고래박물관은 상주하지 않고 촉탁 수의사가 배치돼 있었다. 지난달 돌고래가 폐사하자 상주 수의사가 없었다는 점이 논란이 된 바 있다.
 또 적조발생, 해수염도변화, 지하수 오염 등에 대한 위기대응 매뉴얼과 사육사 관리 매뉴얼을 갖추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 외에 현장 점검 시 일본에서 수입된 큰돌고래가 우울증을 앓고 있었고, 또다른 큰돌고래 장꽃분에게는 피부 백화현상이 발견됐다고 공동조사단은 설명했다.
 장생포 고래박물관뿐 아니라 나머지 돌고래 사육시설도 관련 기준이 없어 안일한 관리가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거제씨월드의 경우 수온 14도 내외에서 사는 흰고래에게 여름철 20도 이상의 물을 공급했다. 국내에서는 흰고래에 대한 관리기준이 없어 크기가 작은 큰돌고래 관리기준을 적용한 것이다.
 시설마다 염도, 수온, 잔류염소농도, 대장균 등의 관리 방식도 달랐다. 대장균의 경우 장생포 고래박물관은 연간 4회를, 제주 한화아쿠아플라넷은 격월로 대장균을 조사했다. 해수를 사용하는 제주 마린파크 등 3곳은 측정하지 않았다.

 공동조사단 관계자는 "수족관은 수십년간 방치돼 온 법의 사각지대였다. 정부는 해양포유류 시설의 기준을 강화하고, 고래 수족관을 없애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동물보호단체 등은 폐쇄할 시설의 돌고래를 위해 '돌고래 바다쉼터 추진위원회(가칭)'를 구성할 예정이며, 환경부는 이번 조사결과 등 다양한 의견을 종합해 국제멸종위기종인 돌고래 보호를 위한 정책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조창훈기자 usjch@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