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주말 흐린날이 이어지면서 공단 주변의 악취가 시민들의 주말을 찌푸리게 했다. 울산시가 공단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방지하기 위해 종합대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하지만 여전히 악취는 우리 생활 주변에 도사리고 있다.
 
여기서 울산시의 악취 관리 대책을 되짚어볼 필요가 있다. 울산시는 선제적 악취 관리로 민원을 해소하기 위해 3대 추진 전략, 10개 역점 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첫 번째 전략은 '악취 배출원의 체계적 관리'다. 연중 배출업소 관리, 실시간 악취 모니터링·무인 감시시스템 운영, 대기·악취배출업소 전수조사, 악취 사업장 맞춤형 기술지원 등을 추진한다. 두 번째 전략은 '기업체 자율적 악취 저감 분위기 조성'이다. 이를 위해 악취 유발 사업장 정기보수 일정 분산, 자율적 저감 분위기 조성, 총 1억원의 중소사업장 악취 저감시설 설치 지원 등을 시행한다. 세 번째 전략은 '악취 취약지역 관리 강화'다. 악취 종합상황실 운영, 상습 우려 지역 기업체 자율환경순찰반 운영, 악취 관리지역 정기실태 조사 및 대응 등이 세부 사업이다.

문제는 이같은 전략이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고 있느냐에 있다. 울산시는 지난해 308개의 악취 배출업소를 점검해 31곳에서 위반사항을 적발했다. 이 중 17개는 개선명령, 3개는 경고, 11개는 행정처분 했다. 울산은 대규모 정유, 석유화학업체 등 600여 개의 악취 배출 사업장이 있다. 고온 다습하고 남풍이나 동남풍이 부는 하절기에 주로 공단에서 도심으로 악취공해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무엇보다 배출원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울산은 대규모 국가공단이 조성된 이후 정유·석유화학·비료·자동차·조선업 등 다양한 악취 배출사업장이 주거지역과 인접하면서 악취 민원이 급증하는 추세다. 최근 3년 간 울산 악취 민원은 2014년 183건, 2015년 227건, 지난해 잠정 수치만 483건에 이른다. 공단지역 주변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여러가지 복합적인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화학공단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황, 황화수소, 휘발성유기화합물이 혼합된 악취가 기상조건에 따라 확산되고 있지만 악취 발생지에 대한 확실한 단서는 모호한 상황이다. 감지기가 수집하는 악취물질을 원인자로 추정해 추적하는 부분에 대해 취약하다. 이에 대한 보다 확실한 방안을 찾아 가려내는 일이 우선이다. 여기에 악취 대책의 초점을 맞춰야 뿌리부터 뽑을 수 있는 이야기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