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월호 침몰 사고가 난지 3년이 지났다. 울산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서는 세월호 참사 3주년을맞아 추모행사 등 다양한 행사가 열렸다. 세월호 사고는 그동안 방치됐던 우리 사회의 총체적 안전불감증을 침몰시킨 대사건이었다. 세월호 참사 이후 대한민국은 안전이 화두가 됐고 지난 3년간 안전한 나라를 만들기 위한 각종 대책이 쏟아졌다.

하지만 우리사회 곳곳에서는 여전히 안전이 담보되지 않은 무수한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울산도 안전한 도시만들기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하지만 울산은 여전히 안전하지 못한 도시로 인식되고 있다. 울산시는 광역시 승격 20주년을 맞아 도시품격을 높이는 데 집중해 산업수도의 위상을 되찾겠다는 포부로 안전한 도시만들기에 매진하고 있다.

울산시는 지진, 태풍 등 자연재난과 노후 국가산단, 원자력발전소의 위험을 저감할 수 있는 현실적 기술개발로 안전도시 울산의 기반 마련을 위해 여러가지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UNIST와 유시스는 드론을 활용한 유해물질 감시와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건물 내부 침수 방호용 경량·가변형 및 다목적 차수막을 각각 개발하고 울산정보산업진흥원은 중소기업의 작업안전을 개선하기 위해 안전보건공단과 연계해 중소기업 위험성 평가 및 개선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시험적용 정책개발과 현장적용 및 시범운영, 성능검정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뿐만이 아니라 울산대와 안전보건공단은 맞춤형 안전보건 전문가 양성과정을 개설하고 인적 안전 시스템 확보에 나선 상황이다. 또 이전공공기관과 지역혁신 주체 간의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울산 재난안전산업 육성 및 발전을 위한 울산 관계기관 협력 네트워크도 구축하고 있다. 이같은 노력은 울산을 안전한 도시로 만들어 가기 위한 작업이다. 추상적인 대책이 아니라 실질적인 안전시스템을 갖추는데 울산시의 이같은 노력이 제 역할을 해 나갈 것으로 기대한다.

문제는 이같은 노력이 제 역할을 해나가기 위해서는 예산의 지원이 보다 내실화되고 안전시스템도 촘촘히 살펴야 한다. 이와함께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역시 시민들의 의식이다. 행정의 안전도시 시스템도 중요하지만 시민의식을 안전에 초점을 맞추는 일이 우선과제다. 이에 대한 보다 세심한 현실적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안전에 대한 생각부터 바꾸는 노력이 밑바탕이 되어야 안전한 도시는 정착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