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울산환경운동연합은 20일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2년까지 미세먼지 오염을 절반으로 줄이기 위해 울산시 미세먼지 예보 및 경보에 관한 조례 개정과 대기오염·발암물질 안전관리제원센터 설립을 촉구하고 있다. 유은경기자 usyek@

산업단지가 밀집한 울산의 미세먼지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미세먼지 측정소를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울산환경운동연합은 20일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울산의 미세먼지 배출량 및 농도측정, 대책이 모두 미흡하다"고 밝혔다.
 2015년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울산지역 미세먼지(PM10)는 46㎍/㎥로 경기지역 54㎍/㎥에 비해 낮고 부산과 대구, 대전 등과 비교해도 중간 정도의 순위를 기록하고 있다.
 초미세먼지(PM2.5)도 7대 특·광역시 중 서울 다음으로 낮은 25㎍/㎥를 기록, 대도시 중에서 괜찮은 대기질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측정소의 평균값만으로 단순하게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게 이 단체의 주장이다. 미세먼지 측정소가 적어 산업단지가 많고 면적이 넓은 울산의 특성이 반영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울산지역 미세먼지 측정소는 21개(PM10 15개, PM2.5 6개)인 반면 서울 73개, 부산 44개가 있다.
 환경운동연합은 "측정소가 많다는 것은 그만큼 평균값이 정밀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울산의 평균값이 객관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지 의문이다"고 설명했다.
 특히 산업체는 미세먼지를 가장 많이 배출하고 있을 뿐 아니라 발암물질까지 포함돼 산업단지를 촘촘하게 모니터링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울산지역 미세먼지 배출원 조사에서는 51%, 환경부의 국가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통계에서 61%를 산업체에서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울산의 미세먼지 주범은 최소한 절반 이상이 산업체"라고 말했다.
 미세먼지에 포함된 중금속농도도 평균치와 공단 근처 수치가 큰 차이를 보였다.
 평균치는 타 시도와 비교해서 크게 문제되지 않았지만 석유화학공단 인근 덕신리 측정소에서는 비소가 전국에서 가장 많이 검출됐고, 카드뮴과 납도 전국 2위를 기록했다.
 국제암연구소(IARC)는 비소, 카드뮴은 1급 발암물질로, 납은 2급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이 단체는 미세먼지 감축을 위한 대책으로 미세먼지 기준을 WHO(세계보건기구) 권고 기준으로 상향하고, 미세먼지 예보 및 경보에 관한 조례 개정, 대기오염·발암물질 안전관리지원센터 설립 등을 요구했다.

 환경운동연합은 "환경 기준은 정책 수립과 경보 발령에 따른 대응 및 조치의 기준이 되는 것이기에 이를 지역특성에 맞춰야한다"면서 "청정연료정책을 조례로 책정하면서 SO2나 NO2의 기준을 상향조정했듯이 이제는 미세먼지의 기준도 울산이 앞장서서 상향조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환경운동연합과 54개 지역환경운동연합은 차기 정권이 2022년까지 미세먼지를 지금의 절반으로 수준으로 줄이는 정책을 마련하도록 다음달 8일까지 10만 청원 서명 운동을 벌인다. 조창훈기자 usjch@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