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주 대한민국은 대통령 선거라는 정치적 행사를 치렀지만 이 와중에 전례없는 산불로 국토가 잿더미가 됐다. 경북 상주와 강원 강릉, 삼척 일대가 산불로 막대한 피해를 입은 가운데 올해 발생한 산불이 지난해 연간 발생 건수를 크게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농림축산식품부와 산림청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이달 8일 현재까지 발생한 산불은 모두 448건이다. 작년 한 해 발생한 총 건수(391건) 보다 14.5% 많은 수준이다.

산불은 주로 건조하고 바람이 많은 봄철과 가을철에 집중적으로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올해 연말까지 산불 발생 건수는 이보다 훨씬 더 늘어날 전망이다. 등산객이 많은 계절이기에 국민안전처는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를 '관심'에서 '주의'로 격상하고 산불예방과 초기진화 태세를 갖추는데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울산시도 현재 '대형산불방지 특별대책기간'을 운영하며 비상운영 체제에 들어간 상황이다.

특히 4월과 5월은 건조한 날씨와 강풍으로 산불발생 위험이 가장 높아 연간 발생하는 산불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대형 산불로 확산될 위험이 크기 때문에 예방활동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따라 울산시는 관내 18개소 산불종합상황실을 확대 운영하고 산림청과 구·군 합동으로 각종 소각행위 근절을 위한 기동단속을 실시하고 있다. 최근 이어지는 건조한 기후에다 영농준비와 산행 증가 등 산불발생 요인이 겹쳐 어느 때보다 주민들의 각별한 관심과 주의가 요구된다. 최근 5년간 일어난 1,713건의 산불 가운데 58%인 993건이 봄철인 3~5월에 집중됐다. 원인별로는 입산자에 의한 실화가 42%를 차지했으며, 소각, 담뱃불 실화 등이 뒤를 이어 대부분 사람들의 사소한 부주의가 화마를 불렀다.

특히 최근 들어 논·밭두렁 태우기 등 소각산불이 급증하고 있어 계도와 단속이 절실하다. 소각산불은 지난해 산불의 34%나 차지했다. 논·밭두렁 태우기는 병해충 방제 효과도 그리 크지 않은 만큼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가피한 경우 마을단위 공동으로 하거나, 읍면사무소에 신고해 감시원이 입회한 가운데 실시해야 한다. 산불은 한번 발생하면 산림 피해뿐 아니라 생태계·환경파괴 등 후유증이 심각하다. 산불 피해지역이 원래 모습으로 복구되려면 40~50년이나 걸리며 막대한 예산이 소요된다. 사전 예방활동과 산불발생시 초기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