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업수도인 울산의 산업폐기물 매립장이 포화상태에 이르러 3년내 '폐기물 대란'이 우려된다는 목소리가 높다.
 울산지역에서 운영중인 산업폐기물 처리장 3개 업체의 매립가능 잔여기간도 0.4년에서 3년 밖에 남지 않아 대체매립지 확보 등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울산시의 대응이 주목된다.

# 타 지자체 약 18년 잔여용량 여유
울산광역시의회 의원연구단체인 '산업단지 주변지역 발전 및 문화유산보존연구회(회장 한동영 의원)'는 16일 의사당 3층 대회의실에서 의원 및 전문가, 관련 기업체, 시민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울산국가산단 사업장 폐기물 처리의 정책방향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김규득 울산지역환경보전협의회 국장은 "울산산단의 연간 120만톤이 넘는 불연성 폐기물에 대한 매립지 확충이 시급하다"면서 "폐기물처리시설 매립장의 매립종료가 3개 업체 평균 1.7년 정도 남아 곧 폐기물처리 문제가 시한폭탄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3개 업체 매립기한 평균 1.7년 남아
 시설 확충 없이 계속 사용 포화상태
 확충·신설 등 특단 대책 마련 시급
 시의회 연구단체 심포지엄서 지적


 김 국장은 울산은 오랫동안 폐기물매립시설 확충이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고 전제한 뒤 "3개 업체 모두 최소 4개월에서 최대 3년이 남았는데 매립종료가 되면 폐기물 대란 사태가 발생해 울산지역 제조업체의 대외 경쟁력이 상실될 것"이라면서 매립장 확충 및 신설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며 울산시가 신속한 행정적 조치를 추진해 줄 것을 제안했다.
 조성웅 푸른울산21 환경복지위원장은 토론에 나서 유해물질에 대한 재활용 기술이 낙후돼 전량회수 전량 재사용률이 낮다면서 현재의 매립지 연장을 위해서라도 기술개발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조 위원장은 또 "중소형 영세기업의 폐기물 관리를 위해 울산시가 주관이 되어 통합관리와 재활용·자원순환·폐기물처리방안 자체운영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한편 현재 울산지역에서 운영되고 있는 산업폐기물 매립장은 코엔텍, 유니큰, 이에스티 등 3곳으로 이 가운데 이에스티의 폐기물 수용량(211만㎥)은 이미 포화상태에 이르러 2.3%의 잔여용량(0.4년)을 남기고 있다. 이어 유니큰도 127만㎥를 수용할 수 있는데 현재 24.2%(1.5년)의 잔여용량이 남겨진 상태다.
 이들 중 가장 많은 허용량을 지닌 업체인 코엔텍은 320만㎥의 매립용량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마저도 향후 3년내 포화상태를 맞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 기업 경쟁력 상실 우려 적극 행정 강조
이와는 대조적으로 여수지역의 경우 2019년 6월 준공예정인 용량 170만㎥까지 포함하면 약 17.6년의 여유를 갖게 된다. 울산에 비해 매립 잔여용량이 10배 이상의 여유가 있다.
 따라서 산단 업체들은 울산시가 대체매립지 확충을 서두르지 않으면 울산 기업체의 경쟁력은 전국 최하위에 처할 수 있다는 전망을 하고 있다. 


 매립시설은 실제 폐기물 매립까지 환경영향평가와 허가, 시설공사까지 2~5년이 소요되는 점을 감안하면 이미 울산공단의 산업폐기물 문제는 빨간불이 켜졌다는게 업체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여기에 톤당 3만5,000원~5만원이던 매립 단가(처리비 및 운반비)는 5만원~12만원까지 상승해 기업들이 적잖은 부담을 안고 있다.
 심포지엄에 참가한 업체 관계자는 "울산 산단의 폐기물 대란이 불 보듯 뻔한데도 울산시가 시급히 대책을 마련하지 않고 있는 이유를 모르겠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울산시가 기업체가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말을 하는데 시가 기업의 애로사항을 듣고 이를 해결하려는 자세를 보여야 하는 것 아닌가"라며 울산시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잠출기자 uskjc@ulsanpress.net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