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이 빠르게 늙어가고 있다. 지난 10년 동안 평균 인구 연령이 4.4세 올랐다. 행정자치부의 통계로 확연하게 나타나고 있다. 지난 3월 기준 국내 주민등록 인구 5,171만 명의 평균 연령이 41.2세다. 울산의 평균 연령도 39.1세로 전국 평균에 근접했다.

전국 17개 광역단체 중 전남이 44.7세로 가장 높았고, 경북(44.0세), 강원(43.7세) 전북(43.2세), 부산(42.9세), 충남(38.8세), 충북(42.0세), 경남(41.5세), 대구(4.13세), 서울(41.3세) 등 전군 평균을 웃돌았다. 가장 낮은 지역은 36.8세의 세종이었다. 그 뒤를 울산(39.1세), 광주(39.2세), 경기(39.4세), 대전(39.6세), 인천(40.1세) 제주(40.6세)로 평균을 밑돌았다. 2008년 행자부가 주민등록 인구통계 시스템으로 평균 연령을 최초 집계했을 때 울산 평균은 34.7세(전국 평균 37.0세)였다. 10년 만에 전국적으로 4.2세, 울산은 4.4세가 오른 것이다.

부산·강원·대구(4.5세)이어 울산이 평균 연령이 가장 많이 오른 지역으로 꼽혔다. 세종은 2008년과 비교해 평균 연령이 3.6세 줄어 대조를 보였다.

행자부는 전국 226개 시·군·구의 평균 연령도 집계했다. 눈에 띄는 것은 전국 69개구·82개 군에서 울산이 5개의 구·군이 상위층에 포진한 것이다. 북구 36.4세로 가장 낮았으며 동구(38.4세), 남구(39.4세), 중구와 울주군(40.4세)이 뒤에 자리했다. 부산 동구가 47.6세로 가장 높았으며 중구(47.5세) 영도구(47.1세) 서구(46.6세)가 뒤에 자리했다.

일자리가 줄면서 타 지역으로 빠져나가는 사람이 늘고 있는데다, 산업재해·고령화 등으로 사망률은 전국 최고 수준인데 애 낳지 않는 현실까지 겹치면서 울산지역 인구절벽의 심각성은 더해진 상황이다. 문제는 울산을 떠나는 이들을 잡아둘 대책이 없다는 점이다. 인구는 곧 도시의 자산이자 미래성장의 담보물이다. 인구감소에 대한 특단의 대책을 당장 마련해야 한다.

도시의 고령화는 성장을 멈추고 쇠퇴한다는 의미다. 일할 사람이 줄어들고 국가나 지자체가 먹여살려야 할 사람만 는다는 것이다. 울산의 경우 시니어를 위한 지원센터가 개설돼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보다 많은 베이비부머나 시니어들이 재사회화와 취업 등을 준비할 수 있는 사회적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사회적 시스템을 만들어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는 전략을 짜는 일은 시급한 현안이 됐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