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전해체센터가 백지화된 이후 원전해체센터 유치 등 원전관련 산업의 미래가 불투명해졌다. 이같은 상황에서 UNIST가 일본과  원자력발전소 해체 연구분야에 손을 잡을 조짐을 보이고 있어 주목을 끌고 있다. 일본의 원전 해체 경험과 한국의 원자력 인재가 더해지면 상생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긍정적인 전망도 나오고 있다. UNIST 일본대사관의 아베 요이치 과학관을 초청해 '한일 원전 해체 공동 연구센터' 설립 방안을 협의했다.

또 일본의 선진 해체 사례를 바탕으로 양국간 해체 기술 및 인력 양성 등 공동 협력의 기반을 마련했다. 일본은 1990년대 후반부터 상업용 원전 해체를 시작해 관련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또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에 원전 해체와 환경 복구도 진행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이달 18일영구정지되는 고리 1호기가 상업용 원전 해체의 첫 사례다. 2030년경이면 현재 운영 중인 상업용 원전의 절반가량은 설계 수명이 만료된다. 울산은 원전 밀집도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도시다. 이번 협의를 계기로 원전 해체를 비롯한 원전 안전 부분에서도 일본과의 상호협력을 추진하면, 지역은 물론 국가 전반의 원자력 재난 안전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문제는 원전해체센터 건립이 백지화로 돌아섰다는 점이다. 기획재정부가 원전해체센터(이하 해체센터) 설립안을 공식적으로 백지화했지만 이는 영남권 신공항 사태 이후 지자체 간 유치 경쟁이 가열되는 사업에 대해 정부가 정치적 부담을 느낀 것이 주요인이다. 하지만 이 문제는 어차피 다시 불거질 상황이다. 정부 정책이 여론에 밀리거나 반발이 두려워 움추려드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 국가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시설은 어떤 반발이 있어도 밀어붙이는 것이 옳다. 정부는 지난 2014년 노후 원전 해체 기술을 연구하는 해체센터 설립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전 세계적으로 해체를 대기하고 있는 원전은 120여 기에 달하고, 시장 규모는 2030년 500조 원, 2050년에는 1,00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더 이상 관련 기술개발을 늦출 수 없다는 판단에서였다.

울산이 원전해체분야에서 가장 적합한 입지를 갖춘것은 자명하다. 문제는 우리나라는 원전 건설과 운영 경험은 있지만, 실제로 원전을 해체해 본 경험은 없어 해체 기술과 연구인력 등 기반이 취약하다. 이번 UNIST의 움직임이 차후 해체센터 유치를 위한 기반 구축에 단초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기대가 크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