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때 아닌 조류독감에 본격 휴가철을 앞두고 겨울철 재난 대응 시스템이 가동되는 상황이다. 조류독감이 겨울철 재난이라는 인식은 이미 깨졌다. 문제의 심각성은 울산지역에서 AI 양성 반응을 보인 농가 3곳의 닭이 모두 고병원성 H5N8형으로 확진됐다는 점이다.

고병원성으로 확진된 농가는 울산시 울주군 남창옹기종기시장에서 닭 11마리를 구입한 울주군 온산읍 농가 1곳과 언양장에서 15마리를 구입한 언양읍 농가 1곳, 농가주가 언양장을 다녀온 적이 있는 남구 상개동 농가 1곳 등이다. 이들 가운데 2곳에서는 닭 일부가 폐사하기도 했다. 울산시는 고병원성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확진 전 이미 이들 농가에서 반경 500m 안에 있는 3∼4개 소규모 농가의 닭을 매몰했다.

시는 또 최근 전통시장 등에서 닭이나 오리를 구입한 시민의 신고를 받아 6일 18개 농가 270여 마리, 7일 15개 농가 400여 마리를 잇따라예방적 매몰을 했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것은 가금류의 AI 의심 폐사 신고가 지난 이틀간 한건도 접수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현재 AI로 의심되는 가금류 폐사 신고가 더이상 들어오지 않고, 닭과 오리 구입 농가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어 조류독감이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는 진단도 나오지만 섣부른 판단은 금물이다.

지난해 11월부터 전국을 휩쓴 사상 최악의 AI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다가 4월 초 이후 AI가 잠잠해지면서 조류독감에 대한 경계심이 느슨해진 상태에서 이번 사태를 맞았다. 고병원성 AI 창궐은 곧바로 축산농가와 요식업계에 피해로 돌아온다. 문제는 대책이다. AI는 사실상 해마다 발생하는 탓에 새로운 사태도 아니다. 완벽한 AI 예방은 불가능하다는 것은 모두가 인식하고 있다.

문제는 확산을 막는 초기대응과 피해지역에 대한 대책이다. 조류독감의 특성상 실질적인 대책인 선제적 방역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역점을 둘 수밖에 없다. 특히 가금류 사육 농가의 선제적 방역이 요구된다. 외부인의 출입을 규제하고, 축사 안팎을 철저하게 소독해야 한다. 방역수칙 준수는 귀찮고 힘들더라도 예방의 첫 단계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방역 당국 역시 거점 소독시설 설치, 가금류 관련 종사자·차량에 대한 한시적 이동제한 등 지금껏 쌓아 온 AI 대응 노하우를 총동원해 방역 관리에 전념해야 한다. 방심이 금물이라는 점을 다시 한 번 유념해야 할 시점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