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리원자력발전소 1호기가 오는 18일 영구정지에 들어간다. 수명을 다한 원전은 앞으로도 더 늘어날 전망이다. 문제는 영구정지에 들어가는 원전에 대한 처리다. 이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 원전해체센터다. 원전 해체 산업은 이미 새로운 신성장 산업이 되고 있지만 정부는 이에 대해 수수방관하는 입장이다. 원전 해체기술은 방사선 안전관리, 기계, 화학, 제어 등 여러 분야의 지식과 기술이 복합된 종합엔지니어링·융합기술이다.
고방사성의 극한 환경에서 적용하기 때문에 고도의 제염, 철거기술과 원격제어기술 등이 필요하다. 18일 자정을 기점으로 영구 정지하는 고리 1호기의 경우 4단계에 걸친 해체작업을 거치게 된다. 우선 5년 동안 원자로 안에 있는 사용후핵연료를 냉각한 다음 이를 별도의 저장조로 옮긴다. 이후 방사성 오염 물질 제거와 구조물을 해체하는 작업에 8년 이상이 소요된다.

여기에 부지를 자연상태로 복원하는 작업까지 더하면 해체작업에만 최소 15년 이상 걸릴 예정이다. 전 세계적으로도 가동 중인 원전 438기 가운데 30년 이상 된 노후 원전이 절반 이상이다. 이 가운데 상당수가 2020년 이후 가동을 멈출 전망이어서 원전해체산업의 규모는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문제는 우리의 경우 원전해체센터 건립이 백지화 상태라는 점이다. 기획재정부가 원전해체센터 설립안을 공식적으로 백지화했지만 이는 영남권 신공항 사태 이후 지자체 간 유치 경쟁이 가열되는 사업에 대해 정부가 정치적 부담을 느낀 것이 주요인이다. 하지만 이 문제는 어차피 다시 불거질 상황이다. 정부 정책이 여론에 밀리거나 반발이 두려워 움추려드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

국가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시설은 반발이 있어도 밀어붙이는 것이 옳다. 정부는 지난 2014년 노후 원전 해체 기술을 연구하는 해체센터 설립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전 세계적으로 해체를 대기하고 있는 원전은 120여 기에 달하고, 시장 규모는 2030년 500조, 2050년에는 1,000조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더 이상 관련 기술개발을 늦출 수 없다는 판단에서였다.

울산이 원전해체분야에서 가장 적합한 입지를 갖춘 것은 자명하다. 문제는 우리나라는 원전 건설과 운영 경험은 있지만, 실제로 원전을 해체해 본 경험은 없어 해체 기술과 연구인력 등 기반이 취약하다. 이를 극복해 나갈 최적의 후보지를 조속히 확정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