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리 1호기 영구정지를 계기로 원전해체 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다. 울산시도 원전해체기술 연구센터 유치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신고리 5·6호기 건설 여부와 관계없이 원전해체기술 연구센터는 반드시 울산에 유치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울산은 원전해체분야에 자신감을 갖고 있다. 물적·인적 인프라를 갖춘 도시인데다가 입지조건을 충분히 갖춘 도시다.

필수요건인 센터가 들어설 부지를 이미 확보했다. 신고리 3·4·5·6호기 부지 인근 서생면 일원에 울주군이 조성 중인 에너지융합산단에 원전해체기술 연구센터 부지 3만3,000㎡를 마련했다. 지역주민의 유치추진 결의 및 서명운동을 하는 등 주민 수용성도 갖췄다. 원전해체기술관련 산업인프라 보유로 실증화 및 산업화 역량도 타 도시에 비해 높다. 핵종분석 및 방사선 측정·관리의 연관분야 200개 기업, 제염기술의 연관산업인 정밀화학분야 176개 기업 등 산업인프라 여건이 전국 최고수준이다.

또 해외 원전해체시장 진출 시 현대중공업을 통해 글로벌기업 컨소시엄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도 울산만의 장점이다. 원전해체기술 연관성이 높은 4개(엔지니어링플랜트, 정밀화학, 에너지소재, 환경)의 지역특화 산업을 가지고 있다는 점도 인근 경북(1개)과 부산(0개)보다 좋은 조건을 갖췄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고등학교-대학-대학원까지 원자력관련 교육기관이 소재해 전문 인력도 풍부하다. 직접 관련전문가를 양성하고 보유한 울산과학기술원(UNIST), 한전국제원자력대학교대학원(KINGS)뿐 아니라 울산대(화학과, 기계공학부, 조선해양공학과, 건설환경공학과), 울산에너지마이스터고(전국유일 에너지마이스터고), 울산테크노파크(원전기자재기술지원센터, 정밀화학소재기술연구소) 등도 들어섰다. UNIST에서는 원전해체 핵심요소기술 원천기반 연구센터가 지난해부터 운영 중이다.

센터는 해체 시 발생할 수 있는 인적 오류를 분석해 평가하고 원전 해체 폐기물의 세슘 등 특정 방사성 물질을 제거해 방사능 준위를 저감하는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울산이 그동안 원전 밀집지역이라는 특수성에도 불구하고 마땅한 보상이나 수혜가 전무하다는 점이다. 대한민국 산업발전의 기수인 울산에 이제 그 혜택을 돌려줘야 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조치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