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화재청과 울산시가 공동으로 진행한 용역결과 차선책으로 선택된 '생태제방안'이 진통을 거듭하고 있다. 지난 28일 반구대 암각화 현장실사에 참석한 문화재위원들은 현장에서 부정적인 의사표현을 하고 나섰다고 한다. 울산시는 생태제방안에 대해 강력한 추진의사를 밝혔지만, 문화재위원들은 첫 대면부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니 불가입장을 확인하러 현장에 왔다는 느낌마저 든다.

이날 문화재위원들은 대곡천을 건너 암각화 앞까지 접근해 설명을 듣고, 주변 지형과 자연환경 등을 꼼꼼히 눈에 담았다. 위원들은 암각화 현장조사 후 울산시의 생태제방안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장단점을 따졌다. 한 위원은 "생태제방안이 수리적인 문제가 부각돼 대체로 거칠다는 느낌이다"면서 "그동안 문화재청은 암각화 보존만을, 울산시는 물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추면서 서로 평행선을 달려온 것 같다"고 말했다. 이 말은 언뜻 중요한 논점을 정리한 듯 하지만 사실을 잘못된 해석이다. 문화재청이 암각화 보존만을 이야기 한 것이 아니라, 문화재청은 주변경관의 훼손불가 입장을 고수해 왔다.

또 울산시가 물문제만을 초점에 맞춘 것이 아니라 반구대암각화와 식수 문제의 공존을 주장해온 것이다. 그런데도 문화재위원들은 울산이 마치 물문제에 매달려 문화재 보존에 관심이 없다는 듯한 선입견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 그래놓고 대안으로 "문화재청 입장을 고려해 문화재를 보존하고, 울산시 입장을 이해해 물 문제도 해결하는 적절한 방안을 더 찾아야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더 찾아야 한다는 말이 공허하게 들리지만 아무렇지도 않게 대안으로 이야기하는 전문가들이 오히려 안타깝다. 이들에게 김시장은 "생태환경을 고려해 제방을 쌓기 때문에 다른 자연환경을 크게 해치지 않는다"고 설명하면서 "생태제방안보다 더욱 최선의 방안이 있다면 얼마든지 수용할 수 있다.

하지만 물 문제와 문화재 보존은 함께 해결돼야 할 문제다"라며 "현재 실현가능성 등에서 최적의 방안으로 생태제방안이 제시된 만큼 더 이상 물 문제, 정치적 문제 등으로 인해 반구대의 훼손이 지속되는 것을 지켜볼 수많은 없다"고 말했다. 말 그대로 호소의 차원이지만 문화재 위원들의 반응은 딴나라 이야기 듣듯 했다는 후문이다. 이번 보존대책에 대한 재심의는 7월 말 경 문화재위원회에서 이루어질 예정이다. 현장에서부터 부정적인 말을 쏟아낸 이들에게 암각화 보존해법을 기대하는 것은 어쩌면 어리석은 일일지 모른다. 이런 식의 논란이 또 얼마나 반복되어야 할지 참 답답한 현실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