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0조 예산의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시작됐다. 문재인 정부의 도시재생 사업이다. 정부는 사업 추진 첫 해인 올해에는 시급한 개선이 필요한 곳 위주로 신규 사업지역을 110곳 이상 선정할 예정이다. 이중 지방분권적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의 관점에서 선정권한을 대폭 위임해 신규 사업 물량의 70% 수준을 광역자치단체가 주관해 선정하도록 할 방침이다.

전체 물량의 30% 수준인 중앙 공모는 지자체(시군구 대상)에서 제시한 뉴딜 사업 계획안을 경쟁 방식으로 평가해 선정한다는 점에서 울산의 각 지자체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 지역별 사업물량 규모를 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각 지자체별로 사업지역 선정을 위한 경쟁이 불가피해졌다. 업계 한 관계자는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 만큼 지역내 경쟁은 물론 지자체들 사이의 경쟁이 치열할 것"이라며 "사업지 선정이 한 지역에 편중되면 자칫 지역 갈등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새롭게 추진되는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기존 도시재생사업의 단위 사업 규모를 줄여서 대규모 철거 없이 주민들이 원하는 소규모 생활밀착형 시설을 설치하는 등 지역이 주도하고 정부는 적극 지원하는 방식으로 추진한다. 연 10조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만큼 전국 지자체들의 관심도 뜨겁다. 울산의 경우 중구가 도시재생에 선발주자로 나선 상황이다. 여기에 동구와 남구도 도시재생을 통한 주거환경 개선과 도시공간 활성화 등을 꾀하고 있다. 여기서 문제는 전국적인 공모사업에 대응하는 울산만의 전략이다.

울산의 경우 중구가 일찌감치 도시재생사업의 선도도시로 뛰어들었고 남구도 장생포를 중심으로 도시 재생에 새로운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 지자체들이 사업 추진을 위해 조직을 만들고 벤치마킹도 벌이는 등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예산을 따오지 못하면 아무런 소용이 없다. 울산만이 가진 특화된 상황과 역사를 접목해 차별화된 사업계획안을 제시하고 정부 관계자를 설득하는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지금까지  추진된 상당수의 도시재생들이 비슷비슷한 아이템을 반복한다든지 다른 사례를 접목하는 수준에 그친감도 없지 않았다. 가능하면 각 지역이 가진 특별한 역사성을 바탕에 둔 도시재생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도시는 한번 파괴하면 다시 만들거나 세울 수 없다. 도시재생은 어제의 울산과 오늘의 울산, 그리고 내일의 울산이 공존하는 공간일 때 울산만의 독창성을 만들어낼 수 있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