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조창훈 사회부

'살충제 계란' 사태에 이어 '릴리안 생리대 부작용' 파동까지 발생하면서 화학물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케미포비아'(화학물질 공포증)라 불리는 부정적 관심이다.

 정부가 살충제 계란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하고 살충제 계란을 먹어도 인체에 크게 해가 되지 않는다고 발표했지만 소비자들의 불신은 오히려 확산되는 모양새다. 맹독성 농약 성분인 DDT까지 검출되자 계란은 물론 닭 판매율까지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고, 메추리, 오리 등 다른 가금류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까지 제기된다. 
 릴리안 생리대 부작용 논란도 마찬가지다. 깨끗한나라의 전 제품에 대한 소비자 불안으로 이어지고 있다. 부작용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성분인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이 생리대뿐만 아니라 다른 제품에 전반적으로 사용됐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전 품목을 점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깨끗한나라는 생리대를 비롯해 기저귀, 물티슈, 화장지 등을 생산·판매하고 있는데, 특히 액체를 흡수하는 기능을 가진 제품인 아기 기저귀에 대한 우려가 높다.
 이 같은 화학물질에 대한 공포와 관심이 수많은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울산 등으로 이어질 필요가 있다. 울산은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이 많다보니 화학물질 누출 추정으로 인한 '악취 신고'가 매년 끊이지 않는다. 그러나 바람을 타고 금세 사라져버리는 탓에 그 원인을 밝혀내는 것은 극히 일부다.
 계란과 생리대는 문제가 되는 제품을 사용하지 않으면 되지만 공장 굴뚝에서 나오는 화학물질은 피할 방법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울산은 올해서야 '화학물질 알권리 조례'를 제정하는 등 화학물질 관련 대응은 미흡하기만 하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화학물질 취급 사업장에 대한 체계적 관리 체계 구축 등 화학물질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도 마련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