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자리가 사라지자 울산의 인구 유출이 멈추지 않고 있다. '울산 엑소더스 현상'이다. 울산의 경우 지난 2015년 12월부터 20개월째 인구유출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7월까지 1만8,000여명이 울산을 빠져나간 것으로 조사됐다. '2만명 탈 울산'을 눈앞에 둔 상황이다. 당장 일자리 창출이 발등에 불이 됐다.

새 정부의 기조도 일자리 창출에 포인트를 맞추고 있다. 울산시는 문재인 정부의 최우선 국정기조인 일자리 창출에 발맞춰 하반기부터 일자리 중심 업무추진을 본격화하기로 했다. 각 부서마다 진행하는 사업별로 일자리 창출 효과를 수치화 해 일자리 창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높여나가겠다는 계획이다.

울산시는 이달부터 일자리 창출에 대한 직원들의 관심을 높이고 분위기를 확산을 위해 시와 구·군에서 추진 중인 각 사업별 일자리 창출 현황을 집계하는 등 가시적인 행정도 병행해 압박을 높여 나갈 방침이다. 울산시의 실·국·본부, 산하기관, 구·군은 각각 추진하고 있는 일자리 창출사업도 추진현황을 매달 월간업무계획보고회에서 보고하기로 했다.

그동안 울산시는 일자리 관련 부서뿐 아니라 진행하는 각종 사업에서 다양한 고용창출 효과가 발생했지만 이를 별도로 집계하지 않았다. 규모, 예산 등 사업의 내용이 주요 검토 사안이 되다보니 일자리가 만들어지는 부분은 미처 염두에 두지 않았던 것이다. 울산시는 이번 정책을 통해 내부 뿐 아니라 울산시민들과 지역 기업들의 일자리 창출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이어지길 기대하고 있다.

당장 시행되는 일자리 창출 관련 세부내용을 살펴보면 기획조정실은 스마트쉼센터 운영으로 가정방문상담 인력 11명, 창조경제본부는 2020년까지 고효율 차량경량화 부품소재개발로 43명, 하이테크밸리 일반산단 조성사업으로 53명 등의 일자리를 창출한다. 복지여성국은 노인일자리사업을 당초 7,613명에서 8,013명으로 400명을 확대해 운영하고 보육교사 147명도 추가로 채용할 계획이다.

문제는 울산시의 일자리 창출도 중요하지만 울산지역 공공기관들의 일자리 창출 노력이다. 이와관련, 더불어민주당 울산시당 청년·대학생위원회의 지적은 아프다. 이들은 얼마전 기자회견을 갖고 "울산 우정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들의 지난해 지역인재 채용률은 전체 신규 채용의 7.3%에 불과하다"면서 "공공기관은 지역인재 채용을 늘리겠다고 분명히 약속하라"고 촉구했다. 공공부문의 일자리 확대는 울산시의 권한 밖이지만 이들 기관에 대한 보다 실질적인 요구도 해봐야 할 시점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