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물 문제로 극심한 고통의 나날을 보내고 있는 울산지역에 단비같은 소식이 전해졌다. 정부가 기존의 댐이 아닌 해수담수화를 통해 수자원을 확보하는 방안을 검토하면서 울산을 후보지로 올려놓은 사실이 밝혀졌다. 수자원 확보 수단으로 추진된 4대강 사업이 녹조 등 수질오염 문제가 제기돼 보철거가 거론되는 가운데 전국 14곳의 해수담수화 도입 후보지역이 됐다는 내용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민주당 이원욱 의원은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전국토 물공급 안정화 사업 기존조사' 자료를 공개했다. 이는 국토부가 한국수자원공사에 의뢰해 외부 용역을 벌인 결과다. 용역 보고서는 가뭄 및 물 부족 문제가 심각한 상황에서 기존 댐과 지표수를 활용하는 용수 공급 방안으로는 한계가 있어 해수담수화를 도입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그러면서 전국 446곳에 대한 검토를 벌여 생활용수 공급 가능구역으로 4곳, 공업용수 공급 지역으로 산업단지 10곳 등 총 14곳을 선정했다.

울산은 공업용수 공급지역으로 선정돼 있다. 아쉽게도 울산은 2030년 이후 장기 사업지로 분류됐지만 사업성이 있는 계획이라는 점에서 관심을 끈다. 보고서는 이들 지역의 해수담수화 사업 규모와 예상 사업비도 추정했다. 하루 10만㎥의 담수를 생산하는 설비를 짓는 데 2,200억원이 소요되는 규모다.

보고서는 해수담수화 사업이 그동안 고비용과 낮은 인지도 등의 문제로 제대로 추진되지 못했지만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 등으로 대체 수자원 확보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고 비용이 많이 내려간 데다 기술 수출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도 이제는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해수담수화 문제는 울산과 가까운 기장에서 한번 실패한 선례가 있다. 지난 2009년이다. 국토부는 국가 중점 프로젝트인 해수담수화플랜트의 시험단지로 부산을 선정해 국비 823억, 민간 706억 원 등 1,529억원을 들여 담수화 시설을 2015년 완공했다. 그런데 유치에서 완공에 이르기까지 해수담수화 시설이 원자로 배수구로부터 11㎞에 불과하고 그 물을 기장군 주민들이 마셔야 한다는 사실은 알려지지 않았다가 완공과 함께 반발이 이어져 가동조차 못하는 신세가 됐다.

울산의 경우 식수가 아닌 공업용수여서 민원우려가 적지만 장기적으로 식수용 담수화 시설도 유치한다면 이 부분에 대한 검토도 필요하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