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류 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가 확산되면서 또다시 전국의 농가가 불안에 떨고 있다. 지난 19일 전북 고창의 육용오리 사육 농가가 H5N6형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확진된 데 이어 20일 국내 대표 철새 도래지인 전남 순천만에서 수거된 철새 분변에서 같은 유형의 바이러스가 검출됐다. 이 바이러스는 작년 11월 국내에서 확진된 후 3,700만 마리의 가금류 살처분을 초래하는 등 사상 최악의 피해를 낳았던 바이러스와 같은 고병원성이다.

정부는 AI 위기경보를 '주의'에서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격상하고 전국 가금류 사육 농가에 48시간 이동중지명령을 내리는 등 고강도 방역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울산시도 비상이다. 울산시는 특별방역대책을 실시하며 AI 바이러스가 관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있다. 울산시는 AI 바이러스에 취약한 가금류 농가를 집중 관리한다. 전담 공무원을 정해 전화 예찰을 실시하고, 수시로 현장 점검에 나선다.

가금류를 판매하는 전통시장도 월 2회 이상 점검에 나서는 등 선제적 차단방역에 총력을 다 할 방침이다. 특히 AI 바이러스가 발생했을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한 사전 준비에도 철저를 기할 계획이다. 즉시 살처분이 이뤄질 수 있도록 관련 매뉴얼을 정비하고 인력 및 장비 동원계획도 점검한다. 문제는 이번 조류독감이 철새가 주 매개체라는 사실이다. 철새는 전파속도와 피해규모가 초특급일 수 있다.

과거의 사례를 보면 철새의 이동경로를 따라 AI 발생이 집중됐고, 지역간 수평전파를 통해 전국으로 확대됐지만 속수무책이었다. AI 예찰에서부터 허점을 보인데다 위기경보 단계 조정 실패 등 농림축산식품부 방역시스템에서도 문제점이 도출됐다. 이번에는 이 같은 오류가 없도록 반드시 문제점을 해소하고, 철저한 AI 방역 체계 개선을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
 
장기적으로는 축사시설문제 해소에서부터 중앙정부와 지방 정부간 유기적인 협조체계 구축, 방역전문가 확충 등도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긴장을 늦추는 순간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는 일도 겪은 경험이 있다. 무엇보다 이제는 AI가 연례행사가 되지 않도록 방역매뉴얼부터 새로 짜야 한다. 초기 방역시스템을 완벽하게 구축한다면 급속한 확산을 막을 수 있다. 방심은 금물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