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령인구 급증을 이어온 울산이 결국 5년 내 '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있다. 게다가 고령화 속도가 무섭도록 빨라지면서 10년 뒤에는 생산가능인구 3명이 고령자 1명을 부양해야하는 '초고령사회'를 직면하게 됐다. 문제는 출생 아동수가 올해는 1만명 밑으로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 상황이다. 위기다. 동남지방통계청이 내놓은 고령자통계를 보면 울산의 고령자 인구는 11만2,000명에 달한다. 전체 울산 인구의 9.6% 수준인데 이 추세라면 2023년에는 고령자가 14.3%에 달해 '고령사회'에 진입하게 된다.

# 울산 고령화 가속 2029년 '초고령 사회' 진입 전망
문제는 생각보다 인구추이가 심각하다는데 있다. 오는 2029년에는 고령화 비율이 20.3%까지 올라가 '초고령사회'에 도달하게 된다.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은 '고령사회',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로 구분된다. 여기다가 21개월 연속 감소세를 기록 중인 울산의 출생아수가 올해 사상 처음으로 1만명 이하로 추락할 전망이다. 특히 올해 들어 울산의 출생아 감소율은 10개월째 두 자릿수를 기록해 '인구절벽'이 본격화되는 양상이다.

울산의 인구는 23개월 연속 순유출을 기록했지만, 인구유출 규모가 2년내 최저치로 감소해 '탈울산 행렬'이 크게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 들어 9월말까지 울산의 출생아수는 총 7,300명으로 전년 동기(8,400명) 대비 13.1% 감소했다. 17개시도 가운데 부산(-14.4%), 서울(-13.7%), 대구·광주(-13.3%)에 이어 5번째로 높은 출생아 감소율이다.

9월 출생아 수는 800명으로 작년 9월(1,000명)보다 200명(20%)가량 줄었다. 월별로는 2016년 1월 이후 21개월 연속 전년대비 출생아수가 감소했다. 올 들어 울산의 출생아 수는 월 700~800명선에 불과하다. 이런 추세가 이어지면 올해 1년간 출생아 수는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1만 명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추세라면 가파른 고령화 속도에 출생아 감소까지 울산은 빠르게 늙어갈 수밖에 없는 구조다. 울산의 고령인구 비중은 지난 1997년 3.5%에서 2007년 5.8%로 2.3%p 증가하는 데 그쳤는데, 이후 10년 만에 3.8%p로 증가폭을 키웠다. 다시 10년이 지난 2027년에는 18.5%로 8.9%p까지 증가세가 가팔라지는 등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 인구 23개월 연속 순유출에 출생아수 사상 첫 1만명 이하 추락
노인만으로 구성된 고령 가구의 비중도 급증하고 있다. 올해 울산의 가구주 연령이 65세 이상인 고령 가구는 6만 4,000가구로 전체 가구의 15.0%를 차지한다. 고령가구의 비중은 2022년에 20%로 높아져 다섯 가구중 한 가구는 노인만으로 구성될 전망이다. 

2030년에는 그 비중이 30.5%까지 오르고 2039년에는 40.3%에 치달아 거의 두가구 중 한 가구는 고령가구가 될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올해 기준 울산의 고령자 단독가구는 2만 가구로, 전체 단독가구의 18.4%를 차지했다. 2020년에는 20.4%, 2031년에는 30.7%, 2037년 35.55%, 2045년 38.3% 등으로 점차 높아질 전망이다.

이 추세라면 경제활동 인구의 급격한 감소가 진행되면서 2030년에는 생산가능인구 3.1명이, 2040년에 2.0이 고령자 1명을 부양해야한다. 현재는 7.9명이 고령자 1명을 부양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고령인구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31.3%로 전국 31.5%에 비해 0.2%p 낮았다. 국민기초생활보장 고령수급자는 4,874명으로 전체 수급자의 27.6%를 차지했다.

이 상황에서 고령인구가 급증하면 노인 빈곤문제는 갈수록 심화될 전망이다. 고령자 사망원은 1위는 암이었으며 2위는 심장 질환, 3위는 뇌혈관 질환이었다. 자해에 의한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54.3명으로 전국(53.3명)보다 높았다.

# 인구 감소 특단 대책 당장 세워야
일자리가 줄면서 타 지역으로 빠져나가는 사람이 늘고 있는데다, 산업재해·고령화 등으로 사망률은 전국 최고 수준인데 애 낳지 않는 현실까지 겹치면서 울산지역 인구절벽의 심각성은 더해진 상황이다.

문제는 울산을 떠나는 이들을 잡아둘 대책이 없다는 점이다. 인구는 곧 도시의 자산이자 미래성장의 담보물이다. 인구감소에 대한 특단의 대책을 당장 마련해야 한다. 울산이 광역시 승격 20년을 맞았지만 이 시점이 정점이라는 전망도 울산의 미래를 어둡게 한다. 과거의 '부자 도시', '산업 수도', '지역총생산 부동의 전국 1위' 같은 수식어들이 전설이 되지 않을까 걱정이 앞선다. 울산을 살고 싶은 도시, 사람이 모여드는 도시로 만들 새로운 정책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