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분양가 상한제와 함께 공사원가 공개가 대세로 굳어지면서 주택시장도 거대한 회오리에 빠져들고 있다. 통상 아파트를 건축할 경우 먼저 지역의 보따리 장사격인 시행사가 개입, 토지를 매수하고 분양을 담당한다. 이후 1군 건설업체 등 대외 신인도가 높은 업체를 선정, 공사를 맡기는 이중 구조를 띄고 있다. 1군 건설업체들이 토지매수에 바로 뛰어들게 되면 지주들이 땅값을 터무니없이 요구, 사업 자체를 어렵게 해 왔기 때문이다. 이 같은 시장구조에서 편승, '노다지'를 꿈꾸는 군소 건설업체들이 토지매수와 문양을 좌지우지해 왔다. 이들 건설사들은 무늬만 건설업체지 시공능력과 자금력은 형편없이 열악하다. 아파트 분양가가 공공행진을 하는 데 이들의 폭리와 농간이 가장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시공업체들이 분양원가 공개 요구에 더 이상 이 같은 업계 관행을 계속할 수 없다고 판단, 독자적으로 모든 사업을 할 움직임이다. 건설사들이 오는 9월 분양가 상한제와 원가 공개 등 주택 건설시장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과 함께 자체사업 및 개발사업 비중을 확대하는 등 사업구조 재편에 나섰다. 특히 발 빠른 건설사들은 대대적인 조직개편을 통해 관련 부서와 인력을 확충하고 있다.
 먼저 대림산업은 지난해 말 건축사업부에 속해 있던 투자개발팀을 별도 투자개발실로 승격시키고, 공모형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이나 도심 재개발사업 등 대규모 개발사업 수주를 확대하기로 했다. 또 현재 시행사 도급사업을 주로 해온 주택사업 1, 2, 3팀과 일반 건축팀 등 4개 팀을 2~3개로 줄이는 대신 사업관리팀의 인력을 보강해 자체사업을 강화할 방침이다. 대림산업 관계자는 "분양가 상한제가 시행되면 시행, 시공사가 이윤을 나누는 현행 구조로는 사업성이 떨어진다"며 "현행 매출 규모를 유지하기 위해 양질의 투자개발 사업이나 자체사업 비중을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GS건설 역시 지난해 말 조직개편에서 대규모 PF사업 등을 담당하는 개발팀을 3개에서 7개로 늘려 대형 프로젝트 수주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SK건설도 마찬가지다. 회사 관계자는 "재무구조가 악화되지 않는 선에서 자체 사업을 강화할 것"이라며 "그동안 SK의 강점이었던 민관합동 사업 등 시공사 주도의 기획 제안형 사업도 더욱 늘려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대우건설은 주택보다는 올해 해외건설 및 국내 각종 개발사업, 공공 민간부문 수주를 확대하기 위해 사내 수주지원단을 신설했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