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과 포항, 경주 해오름동맹 세 도시가 정부에 공동으로 요청한 '동해안연구개발특구' 지정 방향이 이달 안에 결정될 전망이다. 14일 울산시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주 내에 동해안연구개발특구 지정 등 연구개발특구 관련 설명회를 열 계획이다.

# 2015년 울산·포항·경주시 공동 요청
지난 8월부터 과기정통부는 연구개발특구 관련 태스크포스팀(TFT)을 운영 중이다. TFT는 과기정통부, 특구진흥재단, 외부 전문가 등 20여 명으로 구성됐으며, 동해안연구개발특구를 비롯해 3곳의 연구개발특구 지정·확장 등을 검토하고, 연구개발특구 2.0 발전전략을 수립 중이다.

동해안연구개발특구는 자동차·조선, 철강·소재 등 지역 주력산업이 성숙기에 도달함에 따라 울산, 경북(경주·포항) 일원 23.1㎢의 연구개발(R&D) 인프라를 활용해 신성장동력을 찾는 게 목표다. 

시는 과기정통부의 설명회에서 동해안연구개발특구 지정이 사실상 확정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연구개발특구에 대한 정부의 기조가 변화됐기 때문이다.

지난 2015년 시 등은 동해안연구개발특구를 첨단 에너지부품소재, 첨단 바이오메디컬(바이오헬스), 에너지 자원개발 등 3개 분야로 특화한다는 세부 계획을 마련해 과기정통부에 지정 요청을 했지만 특구 축소 기조에 따라 표류해왔다.

# 23㎢ 인프라 활용 신성장동력 발굴
반면 새 정부는 먼저 TFT 구성을 추진하고, 특구제도 전반을 개편하기 위한 연구개발특구 2.0 발전전략을 수립에 나서는 등 적극적으로 변했다. 관심을 끄는 것은 설명회에서 발표될 것으로 보이는 동해안연구개발특구 방향이다.

기존에 가장 유력한 방안은 새로운 소형특구 모델을 만들어 동해안연구개발특구에 적용하는 것이었다. 

소형특구는 과기정통부가 연구개발특구 2.0 발전전략 수립을 추진하면서 적용하는 방안이 검토됐던 안으로 대학, 병원, 공기업 등 지역 핵심 혁신거점을 중심으로 소규모 특구를 지정·조성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그러나 8월 확정하려던 연구개발특구 2.0 발전전략 수립이 늦어지면서 이 방안은 불확실해졌다.

# 박 정부 축소 기조에 2년여 표류
시는 동해안연구개발특구가 6개 지구에 총 23.1㎢에 이르는 초광역 특구인 만큼 규모가 축소돼 울산과 경북이 나눠지거나, 기존에 신청한 연구특구 형태로 진행될 가능성 등을 모두 열어뒀다.

시는 어떤 형태가 되더라도 동해안연구개발특구 지정이 생산과 연구가 함께하는 미래형 도시로 가는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구개발특구가 지정되면 특구본부가 설치되고 연간 100억 원가량의 연구비로 대학, 연구소, 지역 기업체에 R&BD(사업화 연계기술개발사업)를 지원할 수 있다.

# 文정부 들어 발전전략 수립 등 적극
산업 및 연구시설용지 개발 사업 시행자에게는 부담금 감면 및 세제가 지원된다. 또 외국인 투자기업 및 외국연구기관에 대한 세제, 자금 지원, 외국인학교 설립(부지, 건축) 및 운영에 필요한 자금지원도 가능해져 외국투자기업 유치 및 국내 기업유치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시는 관련 절차를 거쳐 늦어도 내년 7~8월께는 동해안연구개발특구 지정을 마무리한다는 게 목표다.

시 관계자는 "울산은 울산테크노산단, UNIST(울산과학기술원), 혁신도시 등 연구개발특구 인프라가 이미 구축돼 있다. 경주·포항도 마찬가지라 긍정적인 면이 많다"고 말했다.  조창훈기자 usjch@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