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종래  울산시의회 교육위원장
김종래 울산시의회 교육위원장

올해는 우리 고장 출신의 '신라 만고충신 박제상' 순국 1,600주년을 맞는 해이다. 필자는 오래전부터 울산 출신의 신라 충신 박제상은 충효를 근본으로 삼았던 신라시대에 크게 이름을 날렸던 인물 정도로만 알고 있었던 게 사실이다.

울산에서는 박제상의 충렬을 추모하기 위해 치술령 아래 '치산서원'과 '박제상기념관'을 건립해 매년 향제도 지내고, '충렬공 박제상 문화축제'도 거행하고 있다.

또한 최근 전 울산향토사연구회장을 역임했던 김 원 작가가 박제상의 자료를 오랫동안 연구하고 집대성한 '신라 만고충신 박제상'이라는 장편 역사소설을 발간했는데, 필자는 이 소설을 읽고 박제상이라는 인물을 울산시민들에게 더 많이 알려 그의 정신을 본받아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우리 울산은 자연과 역사, 산업이 조화를 이룬 산업수도요, 전국 제일의 부자도시다. 하지만 그만큼 외지인들이 80% 이상 유입되어 역동적이긴 하지만 다소 질서가 안 잡히고 어수선한 면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또한, 여러 도시에서 모인 사람들이 부대끼면서 살다보니 도덕적인 면에서 지탄 받을 각종 사건사고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필자는 이 자리를 빌어 박제상 가(家)의 정신 중 현재 우리 울산 사회가 본받아야 할 몇 가지 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
우선 박제상 가의 정신을 현대에 이어받는 정신 운동을 전개해 울산사회가 윤리·도덕적으로 더욱 성숙된 사회로 도약하는 계기로 삼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충렬공 박제상은 만고충신이요, 그의 부인은 열부다. 그의 세 딸은 효녀로 추앙받아 왔다. 이를 잘 정리해 행동거지의 모범을 세우는 문화작업을 시작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 이 같은 문화작업을 진행하기 위해서 그의 정체성을 시민들이 정확히 알도록 하기 위해 교육자들과 공무원, 사회 지도층이 중심이 되어 박제상 가의 정신을 확실히 알고 일반 시민들과 학생들에게 교육해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울산을 산업수도에 더하여 '충절의 고장'으로 자리매김하도록 대대적으로 홍보해야 한다. 아울러 일본 대마도에 있는 '박제상 순국기념비'를 오사카 해총시 목도(기시마) 지역으로 이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필자가 알기로는 대마도의 순국비는 1988년 한국교원대학교 두 교수가 신빙성이 결여된 '일본서기'라는 책에 의해 일본인들과 같이 세웠다고 한다.

지난해 울주문화원이 발간한 '울주문화'라는 책에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공통적으로 밝히고 있는 순국지 '목도'가 아시아 지명 중 유일하게 그 도시라고 밝히고 있다. 그의 순국 1,600주년을 맞아 신라의 충신으로 기록된 박제상의 순국비를 올바른 곳에 이건하여 충신의 넋을 기리는 것이 우리 울산시민들의 도리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울산이 '충절의 고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지도자들이 박제상의 정신을 울산시민들에게 꾸준히 교육·홍보하는데 앞장서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