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 유일 상급병원이었던 울산대병원이 재지정에 탈락하면서 지역사회가 술렁이고 있다. 의료신뢰도 하락, 지역병원 간 경쟁 심화 등 부작용이 예상되는 가운데, 상금종병 심사 기준을 문제 삼고 시 차원의 건의가 이뤄지고 있다.

비수도권 병원 기피현상에 따라 의료진 수급에 어려움을 겪는 지역 인력 수급 현실을 감안하지 않은 심사 규정과 전국을 총 10개 권역으로 나눠 상급종병으로 선정하는 시스템에서 울산이 부산·경남과 함께 경남권에 묶여 울대병원이 경쟁에서 불리했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결국 시의 건의가 먹힌다 해도 울산은 최소 3년간 국내 7대 도시 중 유일하게 상급종병이 없는 도시가 됐다.

울산대병원은 3년 뒤 재지정에 성공하기 위해 150억 원 가량의 적자를 보면서까지 상급종병 의료수준을 유지한다는 입장이다. 이로 인해 상급종병의 의료수준을 갖추면서도 종합병원이 되는 울산대병원으로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를 원하는 환자 쏠림현상이 가속화 될 전망이다.

하지만 이에 따른 인력을 갖출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병원은 이번 상급종병 탈락으로 큰 적자를 보게돼 인력보강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상급종병이 중증환자 치료에 집중하게 되면서 경증환자는 지역 1·2차 종합병원을 자연스레 찾게 되는 지역의료계 순환 구조가 붕괴되면서 불러올 지역병원 간 경쟁구도 심화도 우려된다.

지역 의료 시스템은 결국 환자 유치를 위한 대형-지역병원 경쟁 구도로 변화될 가능성이 크고, 이로 인해 지역 병원이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3년 뒤 상급종병 재지정을 위한 건의도 물론 중요하지만, 이미 '엎질러진 물'이 돼버린 상황에서 시는 지역 의료계에 가중될 혼란을 막기 위한 대책을 하루 바삐 세워야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