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자동차가 올해 판매목표를 대폭 낮췄다. 무려 40만5,000대나 적게 잡았다. 한국 자동차 업계의 맏형격인 현대차의 위축은 자동차 산업의 후퇴는 물론 전 산업계에 미칠 파장이 커지는 상황이다. 현대차가 목표를 대폭 낮춰잡은 것은 주력시장인 중국·미국의 영업환경이 나아질 조짐을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중국 시장은 상황이 심각하다. 이런 상황에서 해를 넘긴 현대차의 임단협은 갈수록 꼬이고 있다. 사상 처음 연내 임단협을 매듭짓지 못한 현대차는 새해 벽두부터 파업에 돌입하는 강수로 일관하고 있다.

노조는 지난해 말 사측과 합의한 2017년 임단협 잠정합의안을 조합원 투표에서 부결시켰다. 잠정합의안 도출까지 19차례나 파업한 것도 모자라 노조는 새해벽두부터 특근을 거부하는 등 실력행사를 계속하는 상황이다. 여기에 보태 현대차 노조는 4일부터 10일까지 전 공장에서 매일 4시간(10일은 6시간) 부분 파업을 진행키로 했다. 아울러 이날부터 비생산을 포함한 모든 특근(평일 철야 포함)을 거부키로 했다. 모든 협의와 각종 공사도 전면 중단했다.

사측이 실시하는 모든 교육과 각 사업부 및 지역 위원회 노사협의까지 모두 멈춘다. 사실상 총파업 수준이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노조는 현대차 내부 거래 실태 조사 의뢰를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소하고 기자 회견을 연다는 계획이다.

앞서 현대차 노사는 지난해 임단협 협상 시작 8개월 만인 지난달 19일 극적으로 임단협 잠정 합의안을 도출했지만 조합원 찬반 투표에서 부결됐다. 잠정 합의안에서 노사는 기본급 5만8,000원 인상과 일시 성과금 300%+280만원, 20만 포인트 지급에 뜻을 모았고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사내하도급 3,500명을 추가 직영으로 특별 고용키로 했었다.

초기 노조 제시안(기본급 15만4,883원 인상 등)에 비해 인상 폭이 낮아지자 조합원들이 받아들이지 않은 셈이다. 노조의 협상대표들이 적정임금에 합의하고 찬반투표까지 부친 것은 노조가 합의선을 인정한 것이다. 그런데 조합원 투표에서 근소한 차로 부결된 것을 가지고 장기투쟁 운운하는 것은 자가당착이다.

과거 같으면 노합원 투표 부결의 책임을 지고 집행부가 총사퇴를 해야할 만한 일인데도 오히려 투쟁강도를 높이겠다니 기가막힐 노릇이다. 현대차의 이같은 상황을 울산시민들과 소비자들은 주시하고 있다. 노사의 모든 교섭은 미래를 위한 선택이 되어야 한다. 노조가 지역사회와 소비자를 의식하지 않는다면 결국 외면받을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