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2016년 9월 경주에서 규모 5.8의 강진이 발생한 지 14개월여 만에 인근 포항에서 또다시 규모 5.4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사람들이 다치고, 건물 파손 등 많은 재산 피해가 발생했을 뿐 아니라, 계속되는 여진으로 주민들은 최근까지도 불안과 공포를 느끼면서 하루 하루를 보내고 있는 상황이다.

울산은 경주, 포항, 부산 등의 인구 밀집지역과 인접해 있고, 자동차·조선·화학·정유산업 중심의 경제적 측면에서 전략적 요충지다. 하지만, 서울 여의도 면적의 6.8배에 달하는 20㎢의 연약지층 위에 20만 명이 거주하고, 주요 대기업들의 대규모 생산시설이 집적돼 있어 안전에 취약한 여건을 가지고 있다.

또한, 국내 최대 원전벨트의 가운데 위치해 있는 만큼 지진 발생 가능성과 대형 복합재난의 위험성이 가장 높은 지역이어서 울산의 안전은 곧 대한민국의 안전의 지표이자 축소판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인근 지역에서 발생한 연이은 지진으로 울산도 더이상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위기 의식이 확산되고 있다. 또 이에 대한 대비가 필수적이라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는 만큼, 정부 차원의 발빠른 대처와 종합적인 처방이 무엇보다도 시급한 때이다.

그간 꾸준히 추진돼 온 민간·공공 시설물에 대한 내진 보강도 더 속도를 내어야 하고, 대피소의 지정·관리, 재난정보의 전파 수단 확충, 대시민 교육과 훈련, 대응 매뉴얼 체계 정비 등 각종 대비책을 마련하여 더욱 체계화시켜야 한다.
또한, 활성단층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는 물론, 첨단기술을 활용한 지진을 예측·감시 기능 강화, 재해 저감 기술 개발도 필요한 상황이다.

이처럼 당장 시작해야 할 일과 중장기적으로 해결할 과제들이 참으로 많은 게 울산의 현실이다. 이렇게 산적한 과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면서 지진 문제를 체계적으로 대응할 구심점이 무엇보다도 시급하다. 이제는 성장과 발전 과정 속에서 소홀히 했던 재난과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울 때이다. 지진 접근에 대한 패러다임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안전한 울산, 안전한 동남권,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서 정부의 용단이 절실하다.

그동안 지진 연구 전담기관의 울산지역 설립의 필요성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논의돼 왔고, 문재인 대통령의 울산지역 대선공약으로 채택됐으며, 올해 울산을 방문한 행정안전부 장관도 지진방재센터의 울산 건립에 대해 공감한 만큼, 울산에 국립지진방재센터가 조속히 설립되어야 한다.

울산은 반세기 동안 대한민국의 산업수도이자 국가 성장의 산실로 대한민국 발전에 이바지 해왔지만, 4차 산업혁명을 목전에 둔 울산과 대한민국의 신성장 미래동력은 안전이라는 확고한 발판 위에 가능한 것임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지난해 연말 울산광역시의회는 울산이 지진방재센터의 최적지임을 강조하면서 120만 시민의 염원을 담아 정부에 촉구한 바 있다.

정부는 안전한 울산을 통한 산업 경쟁력 확보와 지리적 특수성을 감안해 지진 문제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국립지진방재센터의 울산 건립을 더이상 늦추어서는 안 된다. 아울러 정부는 산업과 원전 위험의 직접적인 영향권 안에서 더 큰 위험 부담을 안고 살아가야 하는 울산시민의 마음을 헤아려 재난안전 정책을 재점검하고 이를 철저히 이행해야 하는 책무를 한시도 잊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재차 강조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