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13 지방선거와 함께 치러지는 울산시 교육감 선거에서 정책이 실종됐다. 뚜렷한 교육 이슈나 쟁점을 내세우지 않는 분위기 속에 각 후보들이 보수·진보  양 진영의 단일화에 올인하는 모양새다. 

무상급식 확대라는 메가톤급 교육 이슈가 있던 4년 전 6·2 지방선거와는 상반된 모습이다. 그렇다고 교육계에 쟁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정부의 교육자치 강화 기조에 더해, 학부모들의 표심을 가를 굵직한 교육 이슈들이 많다. 자사고·특목고 폐지와 유치원·돌봄교실 확충, 조기 영어수업 등은 후보들의 입장에 따라 수요자들의 교육 선택권이 달라지는 문제다. 최근 교육계에 논란이 뜨거운 교장공모제 확대 문제도 중요한 교육 쟁점이다.

자사고·특목고 폐지 쟁점은 교육의 다양성이냐 서열화 방지냐를 놓고 타 지역에서는 이번 선거 최대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자사고·특목고 폐지 여부를 전적으로 교육감에 맡기기로 했기 때문이다. 또 유치원 확충 문제는 학령인구 감소 상황에서 저출산 해소 차원에서 핫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상황. 교장공모제 확대도 교장 자격증이 없이도 유능한 평교사들이 교장을 맡을 수 있어야 한다는 주장과 '코드인사'를 양산할 거란 우려가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가운데, 교육감 후보들이 내놓을 입장이 주목되고 있다. 

그러나 각 쟁점에 대한 후보자들의 입장은 전무하다. 섣부른 판단일 수 있으나 지금까지 후보들의 발표 공약을 보면, 탈권위를 내세우거나 자연친화적인 교육 환경, 학생 참여수업 확대 등 기존 공약의 재탕 혹은 진부한 정책들이 다수다. 보수·진보 양 진영에서 추진되는 단일화 움직임을 둘러싼 논란에서 한 발짝도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 교육정책 이슈에 불붙지 못하는 주된 원인이라는 평가다. 

특히 현직 불출마로 무주공산이 되면서 너무 많은 후보들이 출마를 선언한 데다 '빅 이슈'마저 없어 단순 얼굴 알리기에 급급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이렇게 되면 후보의 차별화된 교육 철학 및 지향점에 대한 제대로 된 평가가 이뤄지지 어렵다. 때문에 정책·공약 대결은 커녕 후보들의 '이름값 선거'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가 교육계 안팎에서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