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차 노조의 임금단체협상 요구안에 포함된 '하후상박 연대임금'이 적절성과 타당성 논란에 휩싸였다. 

하후상박 임금은 노조의 사회 고립을 탈피하고 사회양극화 해소를 위한 전략으로 대기업, 중소영세 사업장 및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고용형태에 따른 임금격차를 줄여 동일산업 동일임금체제를 만들자는 취지다. 금속노조가 올해 임단협 지침으로 제시했고 하부영 현대차 노조 위원장이 설파하는 방안이다. 

노조는 최근 확정한 2018년 단체교섭 요구안에서 기본급 11만6,276원을 올리지만 비정규직 등은 더 많은 14만6,746원을 받아, 사회양극화 해소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외부의 시선은 곱지 않다. 비용은 전적으로 회사가 부담을 함에도 생색은 노조가 내는 구조다. 정규직의 임금인상률을 낮추는 만큼 사내하청 비정규직의 임금과 협력업체 납품단가 인상을 유도한다고 하지만, 회사만 모든 비용을 떠안아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SK이노베이션 노조가 소비자물가지수를 연동해 임금 인상률을 정하고 구성원의 기본급 1% 기부를 결정, 노조 이기주의를 내려 놓은 것과 비교된다.

하지만 현대차 노조는 올해 요구안에 '순이익 30% 성과급'을 포함시키면서 회사 실적이 곤두박질친 상황에도 구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비난이다. 지난해 현대차의 당기순익은 4조5,464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25.4% 줄었다. 국내 자동차산업은 GM사태와 한미FTA 재협상에 따른 불확실성, 친환경차로 급변하는 생태계 변화 등 예사롭지 않은 상황에 맞닥뜨리고 있다. "기업의 인건비 부담은 투자 축소로 이어져 회사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판매부진을 불러 결국 구조조정이라는 악순환을 초래하게 될 것"이라는 전문가의 진단을 허투루 넘길 수 없는 이유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