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득한 봄날

최승자

통과해야만 할 아득한 봄날의 시간이
저 밖에서 선혈처럼 낭자하다.
베란다 앞 낮은 산을 뒤덮으며
패혈증처럼 숨가쁘게
어질어질 피어오르는 진달래.
눈물이 나 더는 못보고
쪽문을 소리내어 꽝 닫는다.

어떻게 견디야 할지.
내 앞에 펼쳐질
봄 꽃, 여름 잎
가을 단풍, 겨울 눈꽃

닫혀버린 집안 한구석에서
인조 장미 몇 송이가
무게도 없이 깊이깊이 가라앉는다.

△최승자 시인:  충남 연기, 수도여고, 고려대 독문과 계간 문학과지성 으로 등단, 시집 '이  시대의 사랑' '즐거운 일기' '기억의 집' '내무덤 푸르고' 번역 시집 '죽음의 엘레지' '빈센트, 빈센트, 반.고흐' '자실 연구'등

 

박진한 시인
박진한 시인

가장 아끼는 시집 몇 권이 있다. 최승자 시집이다. 어쩜 사차원적 공통점이 있는 것 같아서 일지도 모른다. 그녀는 80, 90년 절망을 그 섬뜩한 언어로 극단의 미(美)를 서슴없이 표현한 시인이다, 나이 차이는 불과 저보다 서너 살 차이지만 생(生)은 수십 년이나 더 경험해본 필력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오늘 내가 이 시를 소개하면서도 시평을 하고 싶어서가 아니라 저의 독특한 잠입문장 시론을 소개하고 싶기도 하고 이 시인에게서 극단의 잠입문구가 많이 발견되는 것 같아서 연구해 보기로 한다.
꽃잎은 무게도 없는 한낮 반투명 같은 모습으로 진달래처럼 낮은 곳에서부터 저 높은 산봉우리까지 전부를 덮어 피는 꽃은 없다. 어쩜 봄이란 감당하기도 싫은 전체의 역설인지도 모른다.
특히 '쪽문을 소리 내어 꽝 닫는다' 이 문장이 이 시의 80%라 해도 된다. 내가 생각하는 잠입문장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제가 주장하고 가끔 표현하는 독특한 기법이다. 즉 시를 읽고 독자가 무언가 머릿속에서 남아있어야 할 문장이 있다. 이것은 난 잠입문장이라고 표현하고 시(詩)를 쓴다. 난 나름의 평가기준을 볼 때 항상 이것을 최우선으로 한다. 이런 것이 없으면 난 시(詩)라고 평하지 않는다. 나의 봄날 어떻게 견디어야 할지 나도 모른다. 이것이 감당할 수 없는 이 봄의 중력이 아닐까.  박진한 시인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